기초자치단체별 음주·흡연율 차이
복지부 조사…최소지역과 2~3배 차이
시·군·구별로 흡연율이나 음주율에 차이가 있을까, 없을까? 혹 차이가 난다면 어느 정도일까? 보건복지가족부와 질병관리본부가 27일 이런 물음에 처음으로 답을 내놨다. 결론은 ‘차이가 있다. 그것도 최고 2~3배나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복지부 등이 지난해 9~11월 전국 251개 시·군·구별로 19살 이상 성인 남녀 700~817명을 만나 조사한 결과인 ‘2008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보면, 남성 흡연율은 강원 화천군이 60.8%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전남 고흥군은 30.0%로 가장 낮아 배 이상 차이가 났다. 흡연율은 평생 5갑 이상 피웠고 조사 때도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의 비율로 정했다. ‘고위험 음주율’은 충북 단양군이 78.6%로 전국 최고였고, 경남 산청군이 22.6%로 가장 낮아 3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고위험 음주율이란 한 번에 남성은 소주 7잔, 여성은 5잔 이상에 해당되는 알코올을 마시는 술자리를 한 달에 한 번 이상 가지는 사람의 비율이다.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는 등의 운동 실천 비율은 차이가 더 커, 최고 7배에 이르렀다. 하루 30분 이상씩 주 5회 이상 걷는 등의 운동 실천율은 경북 상주시가 88.7%로 가장 높았고 충남 당진군이 13.1%로 가장 낮았다. 비만·고혈압·당뇨 등 생활습관병도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비만은 강원 철원군이 34.6%로 가장 높은 반면, 서울 도봉구가 14.3%로 가장 낮았다. 고혈압이나 당뇨도 2~3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번 조사는 지역별로 건강행동 실천 비율 및 건강 수준의 차이를 낳은 원인을 밝히지는 않았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팀장은 “지역마다 교통, 직종, 인구밀도 등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지역별로 건강행동이나 질병 유형에 대한 통계를 가져야 지역 상황에 맞는 보건의료 정책을 제대로 세울 수 있어, 처음으로 기초자치단체별 조사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