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오른쪽)이 23일 오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집을 방문한 뒤 김경수 비서관의 배웅을 받으며 집을 나서고 있다. 김해/연합뉴스
“서면조사 반드시 필요한 건 아니었다”
정상문과 동시 조사 ‘노림수’ 있는 듯
명품시계 노출 ‘예민’…‘한방’ 관련 추측도
정상문과 동시 조사 ‘노림수’ 있는 듯
명품시계 노출 ‘예민’…‘한방’ 관련 추측도
검찰이 지난 22일 서면질의서 발송이라는 ‘도전장’을 내밀면서, 검찰과 노 전 대통령 쪽의 신경전이 본격적인 공방전으로 치닫고 있다. 노 전 대통령에게 전달된 일곱 쪽짜리 서면질의서에는 검찰이 확보한 핵심적인 진술과 증거에 관한 부분은 들어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과 변호인단은 검찰의 질의 의도와 배경, 법률적 손익 등을 따지며 답변서에 쓸 단어 하나를 고르는 데도 신중을 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판세는 다음주께 소환이 예정된 노 전 대통령 쪽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형국이다. 정 전 비서관이 대통령 특수활동비를 빼돌린 혐의까지 불거져 ‘도덕적 무장해제’가 이뤄진데다, 정 전 비서관과 노 전 대통령 ‘동시 조사’를 선택한 검찰의 노림수도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홍만표 대검찰청 수사기획관은 23일 “서면조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서면조사 내용 자체에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으로, 대세는 이미 기울었다는 자신감을 드러낸 발언으로도 들린다. 애초 검찰은 정 전 비서관을 구속한 뒤, 핵심 의혹인 600만달러와 노 전 대통령의 연관성을 파헤치는 데 집중할 방침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임박한 것 같았던 노 전 대통령의 소환이 미뤄지자, 수사팀은 “대통령 특수활동비와 관련한 정 전 비서관의 새로운 혐의 조사 때문”이라고도 설명한 바 있다. 돈거래 의혹의 한복판에 있는 정 전 비서관의 조사가 먼저고, 노 전 대통령은 그 다음이라는 것이다. 노 전 대통령으로 가는 ‘마지막 징검다리’인 정 전 비서관을 충분히 조사한 뒤에야 수사의 최종 목표인 노 전 대통령의 조사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검찰은 동시 조사를 선택했다. 갑작스런 서면조사에 대해 ‘재보궐 선거를 고려해 검찰이 노 전 대통령 소환을 정치적으로 미루고 있다’는 비판을 피해가기 위해서라는 해석이 나온다. 노 전 대통령 쪽에 수사에 대비할 여유를 주지 않으려는 의도도 읽힌다. 노 전 대통령은 그동안 단편적이긴 하지만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수사 진행 상황을 따라가며 나름의 대응 방안을 고민할 수 있었다. 노 전 대통령이 ‘인터넷 변론’이라는 여론전을 펼 수 있었던 것도 검찰의 칼끝이 어디를 겨누는지 대략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하지만 정 전 비서관과의 동시 조사가 진행되면서 노 전 대통령으로서는 검찰의 포석을 미처 보지 못한 채 방어 전략을 짜야 하는 궁박한 처지로 내몰리게 됐다. 검찰은 노 전 대통령 소환 때까지 정 전 비서관에 대한 조사 내용을 감추는 연막전술을 펼 것으로 관측된다. 박 회장이 노 전 대통령 회갑 때 선물한 고가 명품시계에 대해 검찰이 과민하게 반응하는 것도, 이런 전략의 일부가 노출됐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다. 노 전 대통령 쪽은 600만달러에 대해 “노 전 대통령은 몰랐다”는 식으로 대응해 왔다. 하지만 명품시계는 노 전 대통령과 박 회장이 직접 연결된 금품수수 의혹의 첫 사례로, 박 회장과의 거리감을 강조하던 노 전 대통령 쪽에는 불리한 소재임에 틀림없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