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검찰 “확보한 진술로 압박 사실관계 확정할것”
정상문 조사 30일 일단락…박연차 대질 검토도
노 전대통령, 검찰논리 반박 ‘법정공방’ 치열할듯
정상문 조사 30일 일단락…박연차 대질 검토도
노 전대통령, 검찰논리 반박 ‘법정공방’ 치열할듯
“(노무현 전 대통령은) 피의자 신분인가?”(기자) “그렇다.”(홍만표 대검찰청 수사기획관)
노 전 대통령이 30일 오후 1시30분부터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청사 11층에 마련된 특별조사실에서 조사를 받는다. 피의자 신분이다. 홍 기획관은 소환 날짜가 확정된 26일 오후 기자 브리핑에서 노 전 대통령을 ‘피의자’라고 불렀다. 전직 대통령의 ‘신분’에 대해 명확한 답을 피해 왔던 이제까지와 달리, 취재진의 질문에 주저 없이 나온 답이었다.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노 전 대통령 쪽에 제공한 600만달러와 정상문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횡령한 대통령 특수활동비 12억5천만원의 최종 종착지를 노 전 대통령으로 보고 있다는 검찰의 판단을, ‘법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가장 강하고 분명하게 표현한 것이다.
대검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수사팀은 ‘노 전 대통령은 부인하겠지만, 검찰이 확보한 박 회장과 정 전 비서관의 진술은 이렇다. 이를 설명해 달라’는 식으로 압박하며 사실관계를 확정지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전 대통령의 진술과 검찰이 확보한 물증과의 모순을 드러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사팀은 노 전 대통령을 부르기에 앞서 정 전 비서관을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홍 기획관은 “(30일께면) 정 전 비서관 조사가 일단락될 것으로 보고 그때를 (노 전 대통령 소환 조사일로) 잡았다”며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검찰은 소환 당일 노 전 대통령과 박 회장의 대질 조사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과 노 전 대통령 사이에 서로 ‘패’를 보여주지 않으려는 신경전도 본격화하고 있다. 홍 기획관은 노 전 대통령이 변호인단의 도움을 받아 직접 작성한 답변에 대해 “피의자로서의 권리를 요구하는 종래의 주장과 같은 내용의 답변”, “언론에 보도된 내용”, “구체적이기보다는 포괄적 답변 형식”이라며 사실상 얻은 것이 별로 없다는 투로 말했다.
변호사인 노 전 대통령은 검찰 질의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정지을 수 있는 내용을 쓰기보다는, 공판 과정을 염두에 두고 ‘방어권’ 차원에서 구체적 내용은 피해간 것으로 보인다. 논리 싸움에 능한 그가 소환 조사에서 검찰의 논리를 직접, 정면으로 반박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앞서 노 전 대통령은 지난 7일 자신의 인터넷 누리집(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도 “상세한 이야기는 검찰 조사에 응해 진술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튿날 올린 글에서는 “제가 알고 있는 진실과 검찰이 의심하고 있는 프레임이 같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노 전 대통령 측근들은 이를 “법정에서 다퉈 보겠다는 뜻”으로 풀이하기도 했다.
하지만 검찰 역시 이런 답변 내용을 이미 예상한 듯 “(답변 내용을 참작한 결과) 조사에 상당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압박에 나섰다. ‘조사가 하루 이상 걸릴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도 홍 기획관은 “그것은 사전에 (노 전 대통령 쪽과) 협의할 내용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답변 양에 따라 (조사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최근 하루도 빠짐없이 정 전 비서관을 서울구치소에서 불러내 조사하고 있는 검찰은, 조사 내용에 대해서도 “말할 수 없다”며 노 전 대통령 소환을 앞두고 연막을 치고 있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은 검찰에 보낸 에이(A)4 용지 16쪽 분량의 답변서에서 검찰의 질의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적는 데 5쪽 분량을 할애했다. 홍만표 기획관은 “질의서에 마지막으로, ‘추가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면 써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 글이 노 전 대통령의 ‘변론서’가 될지, 사실상 ‘대국민 사과문’이 될지는 소환 조사 결과에 따라 판가름이 날 전망이다. 김남일기자 namfic@hani.co.kr
노무현 전 대통령이 오는 30일 검찰에 출두하기로 알려진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사에서 방송사 관계자들이 야외 중계방송 무대를 설치하느라 분주하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하지만 검찰 역시 이런 답변 내용을 이미 예상한 듯 “(답변 내용을 참작한 결과) 조사에 상당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압박에 나섰다. ‘조사가 하루 이상 걸릴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도 홍 기획관은 “그것은 사전에 (노 전 대통령 쪽과) 협의할 내용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답변 양에 따라 (조사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최근 하루도 빠짐없이 정 전 비서관을 서울구치소에서 불러내 조사하고 있는 검찰은, 조사 내용에 대해서도 “말할 수 없다”며 노 전 대통령 소환을 앞두고 연막을 치고 있다. 한편, 노 전 대통령은 검찰에 보낸 에이(A)4 용지 16쪽 분량의 답변서에서 검찰의 질의 말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적는 데 5쪽 분량을 할애했다. 홍만표 기획관은 “질의서에 마지막으로, ‘추가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면 써 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 글이 노 전 대통령의 ‘변론서’가 될지, 사실상 ‘대국민 사과문’이 될지는 소환 조사 결과에 따라 판가름이 날 전망이다. 김남일기자 namfic@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