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체제 가동 감시 강화
정부는 27일 전세계로 번지고 있는 돼지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240만명분인 국내 인플루엔자 치료제를 500만명분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와 함께 돼지인플루엔자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한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이종구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타미플루’와 ‘리렌자’ 등 인플루엔자 치료제 240만명분을 정부의 예비비를 이용해 전체 국민의 10%인 500만명분으로 늘려 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세계보건기구(WHO)는 멕시코 등의 돼지인플루엔자가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된 뒤 사람 사이에도 감염될 수 있어 큰 유행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조기 발견이 가능하고 의료 수준도 대응이 가능해 멕시코와 같은 상황에는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1주일가량 되는 인플루엔자의 잠복기에는 환자 발견이 쉽지 않다”며 “잠복기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환자 발생 여부는 이번주가 고비가 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상시 검역체계를 운영하고 세계보건기구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출입국자 검역 등을 강화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돼지인플루엔자를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지정·관리하고, 모든 북미산 돼지고기에 바이러스 검사를 확대 실시하기로 했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김성환 기자 himtrain@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