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권 도왔더니 중용 안해”
‘팽’당한 보수, 집회계획 없어
‘팽’당한 보수, 집회계획 없어
‘촛불 1주년’을 맞아 대규모 연쇄 집회를 예고한 진보진영과 달리, 보수 쪽의 이른바 ‘맞불 집회’ 계획은 잡히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진보진영의 50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은 5월1일 오후 1시 서울시청 광장에서 10만명이 참여하는 ‘세계 노동절 기념·촛불정신 계승·민생 살리기·민주주의 살리기·엠비(MB)정권 심판 범국민대회’를 준비중인 것으로 28일 전해졌다. 전날인 30일에는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대학생 중심으로 전야제를, 다음날인 5월2일에는 용산 참사 100일과 촛불 1주년을 묶어 ‘범국민대회’를 연다.
이에 견줘 보수 단체들은 별다른 집회 계획를 내놓지 않고 있다. 보수 최대 운동단체로 자부해 온 뉴라이트전국연합(전국연합)은 “촛불 1년이라고 따로 집회 계획은 없다”고 밝혔고, 국민행동본부·라이트코리아·노노데모·반국가교육척결국민연합 등 맞불 집회에 자주 등장하던 단체들도 “예정된 행사는 없다”고 밝혔다. 보수 쪽의 유일한 움직임은 학자·명망가 단체인 시대정신과 바른사회시민회의(바른사회)가 22일과 27일 각각 진행한 ‘촛불 1주년 토론회’뿐이다. 경찰 관계자는 “서울광장, 청계광장, 방송사, 민주노동당사 등에서 ‘촛불’과 ‘맞불’이 물리적 충돌까지 빚던 지난해에 견준다면 올해 보수 단체들의 침묵은 이례적”이라고 말했다.
보수 단체들의 내부 사정에 밝은 관계자들은 이를 두고 “논공행상 과정에서 소외된 보수 쪽 운동단체들이 ‘태업’을 벌이는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이명박 정부는 학자·명망가 단체인 시대정신과 바른사회 인사들을 중용하고, 전국연합 등 운동단체는 배제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여왔다. 올해 들어 바른사회 한 곳에서만 현진권 사무총장과 김성기 공동대표가 각각 청와대 시민사회비서관과 민주화보상심의위원장으로 발탁됐지만, 전국연합에서는 한 사람도 ‘부름’을 받지 못했다.
그 때문에 임헌조 전국연합 사무처장은 지난 2월 이명박 정부 1돌 토론회에서 “대통령은 실용을 얘기하며 우파적 가치를 버렸다”며 “보수·우파 시민단체는 존폐의 위기 속에서 커피값도 없이 하루살이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변철환 전국연합 대변인은 “사재를 털어가며 정권 창출을 도왔던 활동가들이 소외되면서 불만이 쌓이는 것은 인지상정”이라며 “전국연합은 앞으로 정치 이슈보다는 민생 문제에 역량을 집중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3년 넘게 전국연합 상임의장을 맡았던 김진홍 목사도 민생경제정책연구소를 만들어 지난달 2선으로 후퇴했다. 봉태홍 라이트코리아 대표는 “보수단체들이 기대만큼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해 동력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 때문에 우리가 당연히 내야 할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길윤형 김민경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