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조선문화사에서 낸 <조선화보> 1944년 1월호에서 이광수(가운데)와 최남선(왼쪽)이 신태양사 사장으로 일본 잡지계를 주도하던 마해송(오른쪽)의 사회로 권두대담을 하고 있다. 필자도 참석했던 43년 11월24일 메이지대 강당의 ‘특별지원병 궐기대회’에서 조선인 유학생들에게 학병 참가를 권유하는 강연을 한 경험을 소개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정경모-한강도 흐르고 다마가와도 흐르고 14
내가 세상 밖으로 나왔을 때 선친께서는 나를 예배당 성단 위에 눕혀 놓고, 이 아이는 하나님께 바치겠노라고 약속을 하였답니다. 바친다는 것은 목사를 시키겠다는 뜻이고, 그래서 나는 중학교 2학년 무렵까지는 목사가 되리라고 맘을 먹고 있었사외다.
어느날 집에 돌아오니까 아버님과 어머님이 막 언성을 높이고 싸우시지 않겠소이까. 나는 그때나 그 이후나 두 분 부부싸움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데, 어머님께서는 아버님께 절대로 아들을 목사가 되게 할 수 없다고 대드신 것이오이다. 선친께서 개척교회 일을 하고 계실 때의 빈궁했던 생활이 어머님은 사무치도록 한스러웠던 것이지요. 그때 두 분의 타협안이 목사 대신 의사였는데, 부모님 말씀에는 고분고분 잘 순종하는 아이였겠지요. 그 자리에서 그럼 의사가 되마고 나는 부모님께 약속을 한 것이오이다.
경기중학을 나온 것이 진주만 공격 이듬해인 1942년이었는데, 게으름뱅이였던 내 성적으로는 성대(경성대학) 의학부는 말할 것도 없고, 경성의전이나 당시의 세브란스의전도 도저히 입시에 도전할 만한 형편이 아니었소이다. 더구나 군사교련 점수가 낙제점인 53점이었으니, 조선 안에서는 나 같은 놈을 받아줄 만한 의학교는 없었겠지요. 그래서 일본으로 뛰어간 것이외다. 재수를 해서 경기에서 뒤떨어졌던 성적을 단숨에 회복할 각오로 말이외다.
그때 마음이 더욱 다급했던 것은, 다음해가 되면 조선 사람에게도 징병령이 실시되어, 내 또래 24년생부터 일본군 입대가 의무화될 예정이었지만 유독 의학부와 공학부에 한해서는 징병을 면제해주기로 돼 있었던 때문이외다.
우선 재수생이 다니는 예비학교라는 데를 들어가 악을 쓰고 공부를 했소이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그렇게도 정신을 집중시켜 공부에 열을 올린 것은 난생처음이었는데, 그렇게 한 6개월 지나다 보니까, 그 학교의 정기 모의시험에서 영어나 수학이나 으레 수석 자리는 내가 차지하고 있습디다. 당시 내가 목표로 정하고 있던 학교는 두말할 것도 없이 게이오대학 의학부 예과였지요. 그 학교는 ‘탈아입구’ 사상의 제창자로 유명한 후쿠자와 유키치가 세운 대학이었고-이것이 문제가 되는 사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흘러갔으나-리버럴한 색채가 농후한 학교였사외다. 또 후쿠자와는 구한말 윤치호나 유길준 같은 분들에게 사상적인 영향을 끼친 일도 있고 해서 당연히 게이오대학이 내게는 제1지망교였사외다.
그런데 원래 명문으로 이름난 곳인데다, 의학부에 입학만 하면 군대에 안 가도 된다는 특전이 붙어 있으니, 또래의 일본 아이들에게 얼마나 들어가고 싶은 학교였겠소이까. 모집인원은 불과 100명인데 무려 3500명의 지원생이 몰려들었더이다. 하늘의 별 따기란 이런 일을 두고 한 말이겠는데, 짜장 그 별을 내가 따지 않았겠소이까. 아, 이제는 살았구나. 합격자 명단에서 내 번호를 발견했을 때의 기쁨을 어찌 말로 다 표현할 수가 있었겠소이까. 또 실제 들어가보니 조선보다는 규율도 너그럽고, 일본 학우들과도 스스럼없이 하숙집 방도 찾아가고 하니까, 정말 감옥에서 빠져나온 기분이었소이다.
게이오대가 있던 히요시는 그때만 해도 참으로 한가하고, 푸른 숲으로 에워싸인 목가적인 학원마을이었소이다. 게다가 흰 돌의 교사는 뛰어나게 우아하였으며, 교정에는 붉은 로도덴드론(석남화)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어, 다 부모님 덕분이었으나 식민지 백성으로서는 희유의 자유를 만끽하고 있었던 것 아니오이까.
입학식도 끝나고 실험실에서 현미경도 들여다보고 하고 있던 어느날, 무슨 통지서 같은 것이 와서 도쿄 시내 간다라는 곳에 있는 메이지대학 대강당을 찾아갔더니, 그때 유학생으로 와 있던 수천명의 조선 학생들로 그 넓은 강당이 꽉 차 있습디다. 그해, 43년부터 조선 사람들에게도 ‘학도동원령’이 내려, 징병 대상보다 나이가 많더라도 전문대·대학교 재학중인 학생들은 전원이 학도지원병으로 싸움터에 나가야 할 참이었소이다. 그 대회는 조선 학생들을 고무하기 위한 집회였사외다.
벽에는 ‘살신성인’이니, ‘대의멸친’(대의를 위해서는 어버이를 거역할 수도 있다)이니 하는 현수막이 걸려 있고, 별을 단 일본 군인들이 단상에 자리를 잡고 있는 삼엄한 분위기 속에서 춘원 이광수와 육당 최남선이 마이크를 잡고 열변을 토합디다.
‘조선 민족의 참다운 번영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 조선 사람이라는 것을 잊고, 천황폐하의 진정한 적자로서 목숨을 바쳐야 한다’는 것이 춘원의 주장이었고, 이어서 나온 육당은 뭐 고구려 때부터 역사를 얘기해 내려가다가 하도 흥분했던 탓인지 혁대가 풀려 양복바지가 내려앉는 추태를 보이니, 앉아 있던 몇 천 명 학생들이 ‘와’ 하고 일제히 일어나 욕설을 퍼붓는 난장판이 전개되었소이다. 그때의 그 광경을 목도한 사람도 이제 나 말고는 별로 남아 있지 않을 듯하여 이 기회에 피로하는 바이외다.
정경모 재일 통일운동가
정경모 재일 통일운동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