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길을찾아서] 통한의 38선, 미국이 긋고 소련이 거들고

등록 2009-05-31 18:19수정 2009-05-31 20:59

‘38선’은 해방 직후 한 삼팔선 마을의 흙길 바닥에 쓰인 것처럼 ‘임시 경계선’에 불과했다. 1945년 8월 11일 일제 항복 직전 미국이 설정하고, 이후 소련이 받아들여 설정된 이 분할통치선은 47년 남과 북이 단독정부를 수립한 뒤 지금껏 민족을 갈라놓는 비극의 선이 됐다.
‘38선’은 해방 직후 한 삼팔선 마을의 흙길 바닥에 쓰인 것처럼 ‘임시 경계선’에 불과했다. 1945년 8월 11일 일제 항복 직전 미국이 설정하고, 이후 소련이 받아들여 설정된 이 분할통치선은 47년 남과 북이 단독정부를 수립한 뒤 지금껏 민족을 갈라놓는 비극의 선이 됐다.
정경모-한강도 흐르고 다마가와도 흐르고 20
이왕 얘기가 나온 김에 우리 조선을 ‘자유롭고 독립된 나라’로 해주겠노라고 약속한 그 ‘카이로 선언’이라는 것이 어떠한 절차를 거쳐 발표되었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어떻겠소이까.

1943년 12월 1일, 루스벨트·처칠·장제스(장개석), 세 거두의 이름으로 발표된 이 선언문 서두에는 “조선 인민의 노예적 상태에 유의하여”라는 말이 나와 있소이다. 우리가 차차 알게 된 사실이지만, ‘조선의 독립’이라든가, ‘그들의 노예적 상태’라든가 하는 개념은 오로지 장제스 총통의 주장으로 삽입된 것인데, 그것은 장제스가 충칭을 떠나기 전 김구 선생께서 찾아가 조선 독립의 당위성에 대해 설득공작을 폈던 까닭이었소이다.

기록을 보면, 이 선언문의 최초 문안은 조선을 ‘가급적 조속한 시일 안에’(at the earliest possible moment) 독립될 것이라고 되어 있었는데, 루스벨트가 그것을 ‘적당한 시기에’(at the proper moment)로 고쳤으며, 다시 여기에 처칠이 붓을 가하여 ‘인 듀 코스’(in due course)로 표현을 바꿨다는 것이오이다. 영어의 이 표현은 미묘한 것인데, 우리말로는 ‘적당한 시기에 일정한 절차를 밟아서’쯤으로 번역될 수 있겠지요.

이 표현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이때 처칠은 영국을 비롯해 프랑스, 네덜란드 등 서구 국가들이 지배해 온 아시아 식민지역들을 그렇게 호락호락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품고 있었는데, 그 ‘서구 국가’에는 암묵적으로 일본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놀라운 사실이오이다.

여기서 그 38선, 다들 아는 것 같으면서도 자세히는 모르고 있는 얘기를 해보겠소이다.

일본이 8월 6일과 9일 연거푸 원자탄 세례를 받아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포츠담 선언’(7월 28일)을 수락할 수밖에 없는 막바지 상황에서도, 오로지 국체(國體)의 문제, 즉 ‘일본은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신(神)의 나라’라는 점을 과연 연합국이 인정하겠느냐의 여부를 놓고 차일피일 결정을 미루고 있었소이다.

그러다 결국 항복 결정을 내린 것은 8월 10일 밤부터 11일 새벽 사이였는데, 그 통보가 중립국인 스위스와 스웨덴에 발신된 시점이나, 미 당국이 그 통보를 받은 때는 확실치 않으나, 부랴부랴 국무차관 매클로이가 국무·육군·해군의 3성 조정위원회 스윙크(SWNCC)를 소집한 것이 워싱턴 시간으로 10일 자정이 가까운 심야였소이다. 그때 매클로이는 딘 러스크와 찰스 본스틸 두 대령에게 미국 쪽에 가장 유리하게 조선반도를 둘로 가르는 분할선을 설정하라고 명령을 내린 것이오이다.

그 시점에서 소련군은 이미 스티야코프 대장이 지휘하는 제25군이 조선 경내로 들어와 있었는데, 조선반도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미군은 1000㎞나 떨어진 오키나와의 하지 중장 휘하 제24군단뿐이었으니, 미국으로서는 얼마나 다급했겠소이까. 매클로이는 두 대령을 회의실 옆방(펜타곤 4층 868호실)에다 몰아넣고 30분 안에 결정을 내리라고 명령했는데, 하필 그 방 벽에는 소학교 흑판에나 있을 법한 작은 조선지도가 걸려 있었다는 것이외다. 두 사람은 38선을 표시했고, 이 정도라면 소련 쪽도 받아들일 것 같고, 또 남쪽으로 서울이 포함되어 있다는 이유로 만족하면서, 매클로이는 이를 승인했다는 것이외다.


여기서 특히 밝혀두고자 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38선은 소련과 미국이 의논해서 합의로 정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그것은 착각이고 38선은 미국 단독으로 결정되었다는 사실이오이다.

미국이 맥아더의 ‘일반명령 제1호’에 들어 있는 38선의 조항을 모스크바 주재 군사사절단장 윌리엄 딘을 통해 스탈린에게 알린 것은 8월 15일이었는바, 그가 군소리 없이 동의한 것은, 만일 소련이 38선을 받아들이면 일본 홋카이도의 분할 점령쯤은 미국이 승낙할 것이 아닌가, 말하자면 김칫국부터 먼저 마신 스탈린의 오산의 결과였다는 바이외다.


정경모 재일 통일운동가
정경모 재일 통일운동가
나와 더불어 89년 3월 평양을 방문한 문익환 목사가 김일성 주석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교환한 약속의 말은 “남의 나라가 멋대로 그어놓은 38선, 그게 뭐 그렇게 소중한 것이라고 신주 모시듯 끼고 있는가. 이런 상태가 반세기 동안이나 계속된다는 것은 민족의 수치이니 이것을 걷어치우고 95년을 통일기원 1년으로 하자”는 것이었소이다. 이 약속의 말은 문 목사가 먼저 제창해 김 주석이 받아들인 것이었지, 그 반대가 아니었다는 것을 여기서 밝혀두고자 하오이다.

아깝게도 문 목사는 94년 1월 18일, 김 주석은 6개월 뒤인 7월 8일, 앞서거니 뒤서거니 세상을 떠나셨지요. 문 목사께서는 나보다 여섯 살이 위이시고, 김 주석과 나는 열두 살 차인데 나만 홀로 남아 있어 그때를 곰곰이 회상하면서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바이외다.

정경모 재일 통일운동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