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시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2006년 전국 5억8천만톤
산업 부문에서 절반 나와
산업 부문에서 절반 나와
국내에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지역은 경기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에서 발생한 온실가스의 절반은 산업 부문에서 배출한 것이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해 국내에서 처음 2006년 전국 248개 지방자치단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 국내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5억8801만t으로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부문별로 보면, 산업 부문 배출량이 전체의 절반인 2억9446만7000t(50.1%)으로 집계됐으며, 그 다음은 수송 부문 1억325만5000t(17.6%), 상업·공공 부문 7430만9000t(12.6%), 가정 부문 7420만9000t(12.6%) 등의 순이었다. 광역자치단체별로는 경기도가 전체의 14.9%인 8734만2000t을 배출해 가장 많았다. 전남과 경북이 각각 7306만7000t(12.4%), 6481만4000t(11%)으로 2, 3위를 차지했다. 경기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배출량이 많은 것은 수도권에 인구와 중소형 산업단지가 몰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제주는 463만7000t(0.8%)으로 배출량이 가장 적었고, 광주와 대전도 각각 785만4000t과 976만2000t으로 다른 시도에 비해 적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전남 광양이 3646만3000t으로 배출량이 가장 많았고, 경북 포항과 울산 남구가 각각 3329만t과 2526만3000t으로 뒤를 이었다. 이 지역들은 모두 제철이나 석유화학 등 대규모 공업단지가 들어선 곳이다. 기초자치단체 배출량을 각 부문별로 살펴보면, 상업·공공 부문 배출량은 대형 빌딩의 전기 사용량이 많은 서울 강남구가 가장 많았고, 가정 부문 배출량은 난방·취사 연료인 프로판가스와 엘엔지(LNG) 사용량이 많은 충남 천안시가 가장 많았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