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청계천 비교 합당한가
보·제방 설치는 생태중심 사업과 성격 전혀 달라
MB “복원반대 많았다”→여론조사서 75% 찬성
보·제방 설치는 생태중심 사업과 성격 전혀 달라
MB “복원반대 많았다”→여론조사서 75% 찬성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7일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청계천 복원 사례를 들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주장은 사실과 다른데다, 성격이 정반대인 4대강 사업을 청계천 사업에 억지로 갖다 붙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4대강 사업의 반대여론에 대해 “청계천 때도 반대가 참 많았다. 학자·정치권·시민단체 분들이 심하게 반대를 했지만 완공 후에는 그분들도 찬성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사실은 이 대통령의 발언과는 정반대였다.
청계천 복원 사업은 학계의 전문가들이 먼저 제안하고 이를 <한겨레>에서 집중 보도한 뒤 당시 서울시장 후보인 이명박씨가 공약으로 채택한 일이었다. 따라서 초기에는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도 적극 찬동했고, 시민들의 지지율도 높았다. <한겨레>가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있던 2002년 4월9일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서울시민의 74.6%가 찬성했으며, 주변 지역 주민들도 71.2%가 찬성했다. “반대가 참 많았다”는 이야기는 사실과 전혀 다른 이야기다.
또 이런 연유로 학자·전문가들과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이명박씨가 서울시장이 된 뒤 서울시에서 구성한 청계천복원 시민위원회에 대거 참여했다. 그러나 청계천 복원의 추진 과정에서 서울시가 공사 기간을 맞추기 위해 일방적으로 공사를 추진하고 환경이나 역사 문화재 복원을 포기하면서 큰 갈등이 빚어졌다. 결국 청계천 복원의 제안자인 소설가 박경리 선생까지 반대하고 나섰고, 노수홍 부위원장(연세대 교수) 등 주요 청계천복원 시민위원들이 모두 사퇴해 버렸다.
당시 시민위원회에서 활동한 안병옥 전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당시 나도 초기엔 방송에 나가 청계천 복원의 필요성을 적극 주장했지만, 이명박 시장이 자신의 임기 안에 공사를 마치려고 서두르면서 나중에 많은 일이 어그러졌다”며 “시민단체에서 ‘처음에 반대했지만 복원 뒤에 찬성했다’는 이 대통령의 말은 사실과 전혀 다른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청계천 복원과 4대강 살리기는 사업의 성격이 정반대라는 지적도 나왔다. 청계천 복원은 개발 시대에 시멘트 콘크리트로 덮인 하천을 되살린다는 취지가 있었지만, 4대강 사업은 자연상태인 하천을 준설하고 보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제방을 만드는 등 개발 시대로 역행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지금의 청계천도 생태하천은 아니지만, 완전히 죽었던 하천을 살려냈다는 의미가 있다”며 “4대강 살리기는 수만년 동안 잘 흘러오는 강을 3년 동안 운하처럼 만들겠다는 것인데 어떻게 비교할 수 있느냐”고 비판했다.
송채경화, 허종식 선임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