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교류 접경권 개발 구상
유엔평화대학 등 추진키로
유엔평화대학 등 추진키로
비무장지대(DMZ)에 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고, 유엔(UN) 평화회의장과 유엔평화대학을 세우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비무장지대 동서를 가로지르는 자전거길과 남과 북을 연결하는 교통길도 건설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2일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남북교류 접경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을 발표하고, 내년 5월까지 종합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기본구상을 보면, 정부는 비무장지대 일대를 ‘생물권 보존지역’으로 지정하고 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해 역사문화유산과 연계한 관광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로 했다. 비무장지대 양쪽 끝인 강화에서 고성까지 모두 495㎞ 구간에는 자전거길을 만들어 전세계 자전거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디엠지 세계 엠티비(MTB) 대회’를 열 방침이다.
또 이 일대에 국제사회와 함께 평화 상징공원을 만들고 판문점에는 유엔평화회의장을 유치하고 유엔평화대학을 설립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남북한 사이 단절된 도로와 철도를 연결하고 영종도 국제공항과 해주·개성을 잇는 서해 평화연도교 건설도 검토된다. 이와 함께 설악산과 금강산을 연결하는 관광형 교류협력지구를 조성하고, 비무장지대 곳곳에 첨단 디스플레이와 첨단 신소재,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정부는 내년 5월까지 주요 핵심사업과 연계협력사업, 지역사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내년 하반기까지 현행 ‘접경지역지원법’을 행정 지원과 재원 조달 등의 내용을 명시한 ‘접경지역지원특별법’으로 개정한 뒤, 2011년부터 단기 사업부터 추진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이번 발표 내용은 말 그대로 기본구상으로, 세부 내용과 계획을 확정하기 위해서 앞으로 국방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 관련부처와 협의를 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