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전 총리가 18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합정동 노무현재단 앞에서 검찰로 가는 승용차에 올라 지인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차량에 비친 이들은 한 전 총리를 배웅하러 나온 이석현 민주당 의원(오른쪽부터)과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한명숙 전 총리 체포]
“험한 싸움 위해 길 떠난다”
돈수수 의혹 수사결과 따라
친노진영·민주개혁세력 영향
“험한 싸움 위해 길 떠난다”
돈수수 의혹 수사결과 따라
친노진영·민주개혁세력 영향
한명숙 전 국무총리는 18일 검찰로 향하면서 “거칠고 험한 싸움을 위해 이 길을 떠난다”고 말했다. 이어 굳게 맞잡았던 이해찬 전 국무총리의 손을 놓고는 홀로 검찰의 검은색 승용차에 올랐다. 자신이 걸어온 인생 전체와 정치적 운명을 건 ‘한판 승부’를 피할 수 없게 됐다는 점을 잘 아는 듯 그의 표정은 단호했다.
한 전 총리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지지율이 급상승하며 야권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어 왔다. 노 전 대통령 서거 당시 ‘맏상제’를 했던 그는 참여정부와 민주개혁진영의 ‘도덕성’을 대표하는 인물이기도 했다. 그래서 야권에선 금품수수 의혹을 받는 한 전 총리가 어떻게 상황을 돌파하느냐에 따라 개인적 정치인생뿐 아니라 민주개혁진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전 총리의 측근은 “한 전 총리가 이 상황을 이겨내 도덕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을 밝혀내면 정치적으로 더 큰 그림을 그릴 수도 있을 것”이라며 “오히려 이번 사건이 야권의 대표적인 정치인 한명을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깨끗한 ‘화합형 정치인’ 이미지 정도에 머물러 있던 한 전 총리가 이번 사건을 거치면서 정권에 맞설 수 있는 야권의 ‘대안 정치인’으로 성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친노진영과 민주개혁세력의 앞날에도 이번 사건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 전 총리에 대한 ‘정치공작’에 맞서겠다며 야당, 시민사회, 친노진영이 연대 대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친노 인사는 “이해찬 전 총리, 유시민 전 장관 등 친노 핵심 인사들이 모두 나서서 한 전 총리의 결백을 주장하고 있다. 이번 사건의 향방은 친노진영의 운명과도 직결되어 있다”고 말했다. 김상희 민주당 의원도 “지금 한 총리의 어깨에 역사적으로 무거운 책임이 얹혀 있다”며 “민주개혁세력을 위해서도 한 전 총리가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혐의 내용이 일부라도 사실로 드러나면 한 전 총리 개인뿐 아니라 민주개혁세력 전체의 도덕성에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주변의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듯 한 전 총리는 다시 한번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검찰로 떠나기 전 “천만번을 다시 물어도 아닌 것은 아니다”며 “검찰의 허위조작 수사에는 일체 응할 수 없으며 법정에서 진실을 낱낱이 밝히겠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그러나 혐의 내용이 일부라도 사실로 드러나면 한 전 총리 개인뿐 아니라 민주개혁세력 전체의 도덕성에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주변의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듯 한 전 총리는 다시 한번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검찰로 떠나기 전 “천만번을 다시 물어도 아닌 것은 아니다”며 “검찰의 허위조작 수사에는 일체 응할 수 없으며 법정에서 진실을 낱낱이 밝히겠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