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태평로1가 서울시 새 청사 건립터의 조선시대 유적 발굴 현장에 석축·기둥자리들과 60여개의 철제 에이치(H)빔이 뒤섞여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문화재위서 보존방식 결정 때까지 보류
시 “현장보존 확정되면 설계 일부 변경”
시 “현장보존 확정되면 설계 일부 변경”
서울시가 새 청사 터에서 나온 조선시대 유적의 보존 방식이 결정될 때까지 새 청사 건설 공사를 중단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오늘 문화재위원회로부터 ‘서울시 새 청사 터 유적의 현지 보존을 위한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소위원회의 회의 결과를 재심의할 것’이라는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며, “이 유적의 보존 방식이 결정될 때까지 공사를 중단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소위원회가 이 유적에 대한 ‘현지 보존’ 방식을 결정하면 서울시 새 청사의 설계변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새 청사 터는 조선시대 무기의 제조를 맡던 ‘군기시’ 외부의 부속시설이 있던 곳으로 조선시대의 건물의 석축, 구들, 기단, 기둥자리 등이 그대로 남아 있다. 특히 지난 11월 보물 861호인 불랑기(프랑크)자포와 같은 형태의 화포가 발굴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불랑기자포는 유럽에서 들여온 화포로 포탄과 화약을 포의 뒤쪽으로 넣어 불붙여 발사시킨다.
이 문제를 두고 문화재위원회는 지난 18일 매장분과를 중심으로 합동분과위원회를 열어 △현지 보존을 전제로 한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소위원회의 회의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김응서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연구원은 “2010년 1월 안에 소위원회를 구성해 구체적 보존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며 “현장 보존이 결정되면 새 청사 설계를 변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영근 서울시 문화시설사업단 신청사담당관은 “소위원회의 결과가 나온 뒤 서울시의 대응 방침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황평우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장은 “서울시 새 청사 터 가운데 이번에 유적과 유물이 나온 현장 외에도 현재 터파기 공사가 시작된 이미 구역에서도 공사를 중단하고 발굴조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지난 2008년 8월 문화재위원회가 근대문화재인 옛 시청 본관 전체를 보존하려 하자, 전격적으로 시청 본관의 태평홀과 양쪽 날개 건물을 철거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대해 문화재위는 즉시 본관 전체를 사적으로 가지정하고 철거한 건물을 복구하라고 결정했다. 그러나 결국 △시청 전면과 중앙홀, 돔을 보존하고 △철거한 태평홀을 지하에 복원한다는 서울시 의견을 받아들여 사적 지정을 풀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현장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대포인 불랑기자포.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