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지역사 전 사장들 22일 긴급회동…노조 “사장 퇴진해야”
<문화방송>(MBC) 전 지역사 사장 14명이 긴급히 만나 권력기관의 문화방송 인사 개입 여부를 따지기로 했다. 보수언론단체도 성명을 내어 김우룡 ‘큰 집’ 발언의 실체 규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8일 인사에서 김 사장에게 해임된 지역 문화방송 사장들은 22일 낮 서울 강남의 한 식당에서 모임을 열어 권력기관 개입 여부를 따지는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19개 지역사 사장 중 각각 본사 사장과 이사가 된 김 사장(전 청주문화방송 사장) 및 황희만 특임본부장(전 울산문화방송 사장), 유임된 사장 3명을 제외한 14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 전직 지역사 사장은 “김 이사장의 입을 통해 여러 정황이 드러난 상태에서 침묵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논의 결과에 따라 김 사장의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이나 성명서 발표, 김 사장과의 공개 면담 등이 추진될 것”이라며 “김 사장 사퇴 요구가 나올 수도 있다”고 밝혔다.
문화방송 노조는 ‘권력기관이 김 사장을 통해 문화방송을 장악하려는 실상이 드러난 이상 김 사장을 용인할 수 없다’며 ‘김 사장 퇴진’ 방침을 정리했다. 노조는 22일 오전 9시부터 김 사장의 진상 규명과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연좌농성을 10층 사장실 앞에서 시작한다.
보수언론단체인 ‘공영방송 발전을 위한 시민연대’ 또한 성명을 통해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김 사장을 불러 압력을 행사했는지 밝혀져야 권력이 언론기관의 인사에 개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며 “만약 엠비시 인사에 권력기관이 개입한 정황이 드러난다면 권력기관의 요구를 수용한 김 사장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언론학자들로 구성된 미디어공공성포럼은 21일 성명을 내어 “김 이사장의 사퇴를 계기로 방송 장악의 실체를 한 사람의 실수와 자기과시 정도로 환원시켜 버리는 또다른 음모가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포럼은 △문화방송 장악 실체 파악을 위한 국정조사 또는 국민청문회 개최 △의혹의 중심에 선 김 사장 및 방송 장악에 일조한 방문진 이사들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