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인민군에 끌려가 전주형무소에서 두 달 동안 고초를 겪은 전주교구의 사제들이 풀려난 당시 모습. 뒷줄 오른쪽부터 김영구 신부, 김현배 주교, 이약슬 신부, 앞줄 오른쪽부터 김종택·김재덕 신부, 이대권 부제다. 전주교구청 제공
문정현-길 위의 신부 24
1979년 12월8일 나는 드디어 석방되었다. 그리고 80년 1월16일 전주 중앙성당으로 발령이 났다. 전주 중앙성당은 주교좌성당이었다. 감옥에서 갓 나온 나를 그곳으로 보냈다는 것은 김재덕 주교가 대외적으로 반독재 민주화운동을 하는 사람을 지지한다는 표현의 하나였다. 김 주교는 76년에도 5월 사제서품을 받는 문규현 신부를 8월에 고산 본당 주임신부로 발령을 낸 적이 있다. 나는 그 일을 김 주교가 규현 신부로 하여금 사회사목을 편히 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81년 4월 평소 알고 지낸던 안기부 요원에게 연락이 왔다. 당시 로마에 출장중인 김 주교가 건강 문제로 스스로 사임을 했다는 것이었다. 73년 5대 교구장으로 임명받은 지 8년 만인데 사임을 하신다니 믿을 수가 없었다. 김 주교는 한국전쟁 때 전주교구 3대 교구장이었던 김현배 신부님을 비롯한 4명의 신부와 함께 인민군에 끌려가 두 달 동안 모진 고문을 당한 뒤 구사일생으로 살아나왔지만 그 대신 건강을 잃었다. 그래서 점심시간이 지나면 늘 교구청 침실에 올라가 두 시간쯤 쉬다 내려왔다. 철없던 젊은 시절에는 주교님이 그 긴박한 시국에도 쉬는 시간을 챙기는 것에 화가 나 불평도 했다. 그런데 막상 주교님이 건강 문제로 사임을 하신다니 마음이 무거웠다. 안기부 요원의 전화를 받자마자 당시 김환철 총대리 신부를 찾아갔더니 사실이었다.
김 주교의 사임 배경에 대해서는 소문이 무성했지만 본인은 결코 다른 말을 하지 않았다. 유신 말기 한차례 구속될 위기에 놓이기도 했던 김 주교의 강한 반독재 투쟁으로 교황청에서조차 그를 못마땅해했다는 얘기가 돌기도 했다. 결국 그해 4월10일 김 주교가 은퇴한 뒤, 83년 6월24일 박정일 주교가 임명될 때까지 전주교구 교구장 자리는 공석이었다.
김 주교는 교회의 예언자적 소명을 강조하고 사회정의 구현에 앞장선 분이었다. 그는 교구 사제들이 수없이 연행·투옥되고 피습까지 당하는 상황에서도 결코 불의에 타협하지 않았다. 교구 내에도 민주화운동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있었지만 늘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정확히 꿰뚫고 있어 흔들리지 않았다. 교구장으로서 쉽게 한쪽 편을 들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중심을 지켰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사제들을 아꼈다.
김 주교는 은퇴한 뒤에는 교구 행정에 전혀 개입하지 않았다. 대쪽 같은 분이었다. 병석에 누우신 뒤로 문병을 자주 가지 못했다. 88년 운명하시기 이틀 전 뵈러 갔더니 내 손을 잡고 말했다. “문 신부, 수고 많았어. 전교 많이 했어. 앞으로도 꼭 그렇게 살아.” 그 말이 유언이 되었다. 그날 주교의 격려는 내 삶에 큰 힘이 되었다.
김 주교는 독재정권과 싸우는 내게 든든한 버팀목이었고, 때로는 채찍이었다. 그러나 내가 젊었을 때는 주교님이 불의에 맞서 끝까지 밀고 나가야 하는데도 주춤거린다고 느꼈다. 주교로서 여러 가지를 고려하는 걸 이해하지 못했다. 그래서 주교님께 ‘아닌 것은 아니오, 예 할 것은 예 하라’고 강요했다. 주교님은 그럴 때마다 “세상에 자네만 있는 것이 아니야”라고 꾸짖었다. 그렇지만 그분의 뜻을 의심해 본 적은 없다. 그만큼 끝까지 지조를 지킨 분이 드물다. 훌륭한 분이었다.
79년 박종상 신부 구타 사건이 터졌을 때 교회의 유일한 매체였던 <가톨릭신문>에서 전주교구 전체가 단식하는 기사를 내지 않은 적이 있었다. 김 주교는 무척 노하여 교구 사제단 결의로 교구 전체가 그 신문을 보지 않도록 했다. 당시 대구교구에서 만들던 가톨릭신문은 ‘유신’을 찬성하고 있었다. 전주교구가 그 신문을 재구독한 것은 박정일 주교가 부임하고도 한참 뒤였다.
교회는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곳이긴 하지만 사목자의 노력에 따라 정의를 지키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일은 아니었다. 교구 공동체에서 환자, 노동자, 고통받는 사람에 대해 토의하고, 복음적 가치를 가지고 일하는 사람을 끌어주고 키워주어야 한다. 그런 열의와 소통 기술이 필요하다. 사회는 진실과 정의가 살아있는 한 꿈틀꿈틀 움직이겠지만 교회는 자치하면 화석화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도 세상을 보는 눈이 정확해야 한다. 사제는 올바른 역사인식을 가져야 한다. 김재덕 주교님처럼.
구술정리/김중미 작가
문정현 신부
구술정리/김중미 작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