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감찰본부장 후보 2명 모두 비검사 출신 ‘파격’
검사장급인 대검찰청 감찰본부장에 판사 출신 변호사가 임명된다. 판사 출신 인사가 검찰 감찰 책임자에 임명되기는 처음이다.
스폰서 검사 파문으로 곤욕을 치른 검찰이 비검사 출신 인사를 감찰본부장에 임명하겠다고 밝히긴 했지만, 검찰과 법원의 관계를 고려할 때 판사 출신 본부장은 파격으로 받아들여진다.
또 법무부도 법무부 설립 이후 처음으로 검사장급인 감찰관 자리에 현직 감사원 국장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 관계자는 3일 “새로 만들어지는 대검 감찰본부장 자리에 판사 출신 변호사 두 명이 마지막 후보로 좁혀진 상태”라고 밝혔다.
현직 검사장급의 법조 경력자인 이 변호사들은 공모 지원 전 로펌에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은 지난 6월 스폰서 검사 파문의 후속 대책으로 대검 감찰부를 폐지하는 대신 검찰총장 직속으로 비검사 출신 외부인사가 본부장(임기 2년)을 맡는 감찰본부를 설치하기로 한 바 있다.
법무부 관계자도 “변호사 출신인 감사원 국장급 인사가 법무부 감찰관에 지원했다”며 “후보들 인터뷰를 거쳐 이달 말께 정식 임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감사원은 공공기관 감사를 외부에서 충원하도록 한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현직인 박종기 서울고검 검사를 2년 임기의 감찰관에 채용했다.
현직 검사가 감사원 감찰관에 임명된 것도 처음이다. 법무부·감사원 등 주요 국가 사정기관 감찰 관련 인사가 이처럼 파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국가 주요 사정기관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한 지시에 따른 후속 조처로 보인다. 김남일 이순혁 기자 namfic@hani.co.kr
현직 검사가 감사원 감찰관에 임명된 것도 처음이다. 법무부·감사원 등 주요 국가 사정기관 감찰 관련 인사가 이처럼 파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25일 “국가 주요 사정기관의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한 지시에 따른 후속 조처로 보인다. 김남일 이순혁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