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현판 제작에 사용된 소나무가 금강송이 아니라 일반 소나무라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문순 민주당 의원은 15일 “목재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한 결과, 현판에 사용된 목재는 나이테 간격이 넓고 황백색을 띠고 있어 일반 육송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현판 목재의 수종관련 자료를 확인한 결과, 지난 4월29일 개최된 자문위원회의에서 현판의 목재는 ‘육송’으로 결정됐으며, 감리단이 제출한 현판 목재 검수 확인서에서도 ‘금강송’이 아닌 ‘육송’으로 표시돼 있었다”고 밝혔다. 이같은 내용에 대해 문화재청에 문의하자 “‘일반적으로 육송으로 표기하지만 금강송이 맞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금강송은 생장속도가 육송의 3배 이상 느리고, 줄기가 곧게 자라며 향이 좋고, 나무테의 폭이 좁고 일정한 편이며, 나무속의 심재부분은 부드러운 적색을 띠고, 단단하면서도 가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당시 광화문 복원사업을 총지휘한 신응수 대목장은 “지름 60cm 가량 되는 수령 100년 이상된 강원도 금강송”이라며 “자신이 직접 고른 것으로 3년 이상 건조한 목재”라고 밝힌 바 있다.
최 의원은 이외에도 △결이 바르지 않은 나무를 사용 △옹이가 많은 윗둥을 사용 △건조시 뒤틀리기 쉬운 윗결 판재 사용 △본드 사용 △목재의 뒤틀림 현상에 대한 대비 부족 등을 광화문 현판 균열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최문순 의원은 “광화문 현판 균열은 8.15와 G20 행사에 맞추기 위한 청와대의 무리한 요구와 문화재청의 꼭두각시 행정이 만들어낸 종합작품”이라고 주장했다.
이충신 기자 cs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