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급때 ‘문제없음’에도 청와대 사실상 사퇴 유도
후임에 포항출신 거론 장성급 인사폭 커질듯
후임에 포항출신 거론 장성급 인사폭 커질듯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아온 황의돈(사진) 육군참모총장(대장)이 14일 전역지원서를 제출했다.
지난 6월 취임한 황의돈 총장이 임기 2년을 채우지 못하고 6개월 만에 물러남에 따라 후속 군 수뇌부 인사 등 청와대가 주도하는 군의 새판짜기가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황 총장이 최근 언론에 보도된 재산형성 과정과 관련해 김관진 국방장관과 함께 육군 개혁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 육군을 지휘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개인적으로 판단해 이명박 대통령께 사임을 건의했고 이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육군 관계자는 “황 총장의 재산형성 과정이 사회적 논란이 된 것에 대해 그 진위 여부를 떠나 대통령과 육군 장병 및 국민들께 부담을 준 것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차원”이라고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황 총장은 국방부 대변인(준장)이던 2002년 8월 국방부 근처인 서울 용산구 한강로 1가에 있던 대지 316㎡의 낡은 2층 건물을 사들여 이를 6층 건물로 신축했다. 그 뒤 8년 동안 공시지가로 4배가량 땅값이 올라, 황 총장이 국방부가 결정하는 고도제한 완화 정보를 미리 알고 부동산 투기를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지난주 일부 언론에 보도됐다. 하지만 이 문제는 진급 심사 때마다 내부 투서 등으로 여러차례 검증을 거쳐 ‘문제없음’이라는 판단이 있어온 터여서, 황 총장의 전격적인 사퇴가 온전히 ‘부동산 투기 의혹’ 탓만은 아니라는 분석이 군 안팎에서 나온다.
실제 겉으론 자진 사퇴 형식이지만, 황 총장 사퇴 과정에는 청와대의 뜻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군의 허술한 대응이 논란이 된 상황에서 황 총장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겹치자 ‘군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심상치 않은 기류를 눈치챈 황 총장과 한민구 합동참모본부 의장은 13일 밤 김관진 국방장관 공관에 모여 대책을 상의했다. 이 자리에서 한민구 의장도 사의를 표명했으나, 김 장관이 말려 한 의장은 전역지원서를 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내부에서는 청와대가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강도 높은 군 개혁을 공언해온 터라, 황 총장 사퇴를 계기로 청와대가 군 개혁에 시동을 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대통령 직속 국방선진화추진위원회는 지난 6일 71개 국방개혁 과제를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청와대는 최대한 조기에 국방개혁 과제를 선별해 정책화한다는 방침을 거듭 강조해왔다.
국방부는 황 총장 사퇴에 따라 육군총장 업무를 조정환 육군참모차장이 대행하게 하고, 후보자를 추천해 16일 임시국무회의를 거쳐 후임 육군참모총장 인선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후임으로는 김상기 제3야전군사령관(대장)과 박정이 제1야전군사령관(대장), 이철휘 제2작전사령관(대장), 정승조 한미연합사 부사령관(대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중 이 대통령과 같은 포항 동지상고 출신인 김상기 사령관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돈다.
한편, 군 장성 인사도 16일에 일괄적으로 단행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준장 진급 인사부터 대장 인사까지 16일에 한꺼번에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한편, 군 장성 인사도 16일에 일괄적으로 단행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준장 진급 인사부터 대장 인사까지 16일에 한꺼번에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