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8월부터 ‘보상제’ 운영
차로 분리시설물 없애 더 위험
차로 분리시설물 없애 더 위험
자전거와 지하철을 번갈아 타고 출퇴근하는 시민에게 지하철 운임 일부를 깎아주는 ‘자전거 이용 환승 보상제’가 8월부터 서울에서 시범 운영된다.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이들이 모여 함께 주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바이크버스’ 제도도 도입된다.
하지만 차도와 자전거도로를 구분하는 분리시설물을 없애기로 해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이 취약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는 6일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2011년 서울시 업그레이드 자전거 정책’을 발표했다. 시민들이 자전거-지하철 환승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지하철 1·2호선 신도림역과 4호선 수유역 등 2곳의 자전거 주차장에 키오스크(컴퓨터 자동화시스템)를 설치하고, 자전거에서 지하철로, 지하철에서 자전거로 환승하는 이용자가 교통카드를 기기에 대면 운임 200~300원을 적립해주기로 했다. 시는 두 곳에서 4개월 동안 시범 운영한 뒤, 내년부터 서울시내 자전거 주차장 6곳 모두로 확대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버스 환승 시민들에게도 적용하는 것도 검토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6월부터 매달 22일을 ‘바이크버스’ 운영의 날로 정해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이른바 ‘자출족’의 단체 출근을 권장하기로 했다. 바이크버스란 자출족들이 출퇴근할 때 특정 시각에 특정 지점에 모여 함께 주행하는 제도다. 이를 위해 먼저 바이크버스 노선 발굴 작업을 할 계획이다. 시는 자동차와 자전거가 도로를 공유해야 한다는 취지의 ‘도로 나눔 운동’도 함께 벌이기로 했다.
송상석 녹색교통운동 사무처장은 “자전거로 지하철역까지 가서 환승하는 이들에게 인센티브를 주면 자전거 이용에 좀더 매력을 줄 것 같다”면서도 “자전거를 세울 공간 부족 등으로 불편을 겪지 않도록 세심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자전거도로 옆에 설치한 펜스·연석 같은 돌출물 때문에 불편하다는 주민 민원을 수용해, 분리시설물을 제거하고 대신 반사판을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자전거도로를 차량이 점유해 자전거도로 기능이 떨어진 구간에는 보도 일부를 자전거도로로 활용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서울시는 2009~2010년 88㎞의 자전거도로를 설치했다.
이런 자전거도로 관리 방안을 두고는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을 오히려 더욱 취약하게 만들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서울에서 자전거 타기 더 위험해진다’는 제목의 논평을 내어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대중교통요금을 할인해주는 긍정적인 내용도 있지만, 가장 우선시돼야 할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한 이런 정책은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