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협 ‘혁신위’ 제안 수용
카이스트(KAIST·한국과학기술원) 서남표 총장이 차등 수업료제와 전면 영어 강의 등 학교 주요 정책의 결정권을 향후 석달 동안 교수·학생 대표기구인 혁신비상위원회에 넘기기로 했다. 서 총장은 카이스트 사태가 수습된 뒤 사퇴할 뜻을 내비쳤다.
카이스트 교수협의회는 13일 “교수·학생들의 잇단 자살로 불거진 학내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 12일부터 23시간가량 벌인 온라인 투표에서 총장에게 ‘혁신비상위원회 구성’을 제안하는 안건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교수협의회 회원 교수 510명 가운데 355명이 참여해 301명(84.8%)이 안건에 찬성표를 던졌다.
서 총장은 혁신비상위 구성 요구가 통과되자 기자회견을 열어 “카이스트 개혁정책을 (어느 정도) 정리해놓고 떠나는 게 낫겠다고 생각한다. 5년 동안 언제고 떠날 준비를 하고 살아왔다”고 말해, 사태 수습 뒤 사퇴할 것임을 시사했다.
혁신비상위는 이르면 15일 총장이 지명하는 부총장 등 5명, 교수협의회가 지명하는 평교수 대표 5명, 학생회가 학생 대표 3명으로 이르면 15일 구성된다. 석달 동안 활동하며, 지금까지 논란이 돼 온 학교정책 전반을 원점에서 논의해 투표로 결정한다. 위원장은 평교수 대표가 맡도록 했다.
서 총장은 ‘혁신비상위가 결정한 사안은 총장이 반드시 수용하고 즉시 실행해야 한다’는 조건도 수용했다. 그는 핵심 학교정책의 결정 권한을 혁신비상위에 넘기고, 일상적인 업무만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서 총장은 당분간 대외 일정을 취소하고 학교 구성원들과 소통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경종민 교수협의회장(전자공학)은 “14일 열리는 교수협의회 총회에서 평교수 대표 선출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카이스트 쪽은 그동안 논의해온 ‘학사운영 및 교육개선안’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들은 뒤 15일 열릴 이사회에 내기로 했다.
이날 저녁 카이스트 본관 앞 잔디밭과 대강당에서는 학부와 대학원 학생들이 각각 비상학생총회를 열어, 학내 현안을 놓고 토론했다. 대전/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