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년간 전수조사키로
일제 강점기에 러시아 사할린으로 강제동원된 한국인들이 묻힌 묘역에 대해 정부가 처음으로 공식 현지조사에 나선다.
국무총리 산하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강제동원위)는 오는 7~8월 러시아 사할린의 유즈노사할린스크 제1공동묘지(대상 면적 42만㎡) 안의 한인 묘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강제동원위의 위탁을 받은 시민단체 지구촌동포연대(KIN)에 의해 이뤄지며, 오는 10월께 조사 결과에 대한 최종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다.
조사는 먼저 제1공동묘지에 있는 전체 묘 가운데 한국인 묘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한 뒤 현재 강제동원위가 보유한 사할린 강제동원 관련 자료와 대조해 해당 묘에 피해자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강제동원위는 앞서 지난 2007~2009년 3차례에 걸쳐 사할린 현지에서 한인 묘지 실태 예비조사를 벌여 580기에 이르는 한인 묘지를 발견하고, 이 가운데 125기가 강제동원 피해자의 묘라는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에 조사할 제1공동묘지는 예비조사 당시 한인 피해자 묘가 일부 확인된 곳이다.
강제동원위는 또 러시아 정부에 현지에서 사망한 한국인에 대한 피해신고 기록이 있는지 확인하는 등의 정부간 협조 방안을 마련중이며,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5년에 걸쳐 사할린 모든 지역 공동묘지 21곳에 대해 전수조사를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