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등에 악용
전화기에 찍히는 발신자 번호도 한번쯤 의심해봐야 하는 현실이 됐다. 발신 전화번호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해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에 악용될 수 있도록 한 통신사업자들을 경찰이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으로 입건했다.
17일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에 따르면, 별정통신사업자인 ㅇ사 대표 송아무개씨는 중국인들에게 대당 9만원에 발신번호 변경이 가능한 인터넷 전화기를 판 뒤 구입자가 발신번호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도록 관리자 권한을 부여했다. 또다른 별정통신사업자인 ㄹ사는 중국 통신업체와 인터넷 전화 중개계약을 맺어 중국에서 변경된 번호를 그대로 국내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번호 조작을 도운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이 두 업체에서 확인한 발신번호 조작 건수는 최근 10개월 동안 520만여건에 이르렀고, 경찰·검찰 등 국가기관이나 금융기관의 전화번호로 조작된 발신번호 건수도 47만여건이나 됐다. 경찰은 “이렇게 번호 조작을 통해 발신된 전화가 보이스피싱이나 스팸전화 등에 악용되고 있다”며 인터넷 전화 서비스 업체들을 대상으로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