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가 19일 “국방부와 땅값 차이를 못 좁혀 파주캠퍼스 조성 사업을 포기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경기 파주시는 법적 대응과 함께 이화여대 앞에서 무기한 시위를 벌이기로 하는 등 강력 반발해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조청식 파주시 부시장은 “이대가 밝힌 사업 포기 사유는 사실과 다른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며 “파주시는 그동안 파주캠퍼스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발생한 주민 피해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 소송 등 가능한 모든 법적 대응과 함께 무기한 시위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화여대 유치 시민추진위원회 등 파주 시민 1500여명은 이날 오후 이대 정문 앞에서 ‘이대 파주캠퍼스 백지화 규탄대회’를 열고 “이화여대 파주캠퍼스 조성 포기는 주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며 강력히 항의했다. 서창배(57) 시민추진위원장은 “파주 시민들은 이대가 환경단체의 반발과 소송 등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찾아다니며 이대를 도왔다”며 “5년이 지난 이제 와서 무 자르듯 사업을 백지화하는 것은 파주 시민들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화여대는 이날 오전 이경숙 부총장 등이 파주시를 방문해 사업을 포기한다는 공문을 전달한 데 이어 ‘파주 교육연구복합단지 추진 사업에 대한 이화여자대학교의 공식 입장’을 발표해 사업 포기를 공식화했다. 이대는 “(반환될 주한미군 부대인)캠프 에드워드 감정가액에 대한 국방부와 입장 차이를 좁히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토지 소유자가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의지만을 근거로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대는 사업 초기에 캠프 에드워드의 예상 땅값이 292억원이었는데 교육연구단지 조성 계획이 발표되면서 2010년 감정평가액은 652억원에 이르렀고, 국방부의 감정평가액은 1750억원에 이르러 협의매수에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이대는 “최근 대학의 교육연구부지 확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반값 등록금 논란 등 대학의 재정 운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해, 사업을 더는 추진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땅값 차액을 보전하겠다’고 한 경기도와 파주시의 제안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이대는 “제안 내용이 토지 매입 단계에서 직접 보전해주는 것이 아니라, 부지 매입 뒤 수년에 걸쳐 연구개발(R&D)사업비로 보전하는 것이라서 실현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설명했다.
파주시와 경기도, 이화여대는 2006년 10월11일 캠퍼스 유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반환 미군기지인 캠프 에드워드 21만9000㎡와 인접 국유지 7만㎡ 등 28만9000㎡에 캠퍼스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파주/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