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대 검찰총장(오른쪽)이 2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대검찰청에서 열린 전국특수부장회의에서 인사말을 한 뒤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 왼쪽은 채동욱 대검찰청 차장검사.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영업중 6곳도 포함…추가 뱅크런 우려
검찰 “관계기관과 합동수사단 꾸릴것”
검찰 “관계기관과 합동수사단 꾸릴것”
검찰의 수사를 받게 될 저축은행이 애초 알려진 것보다 6곳이 늘어난 11곳으로 밝혀졌다.
20일 검찰과 금융감독원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검찰에 고발된 저축은행에는 지난 18일 영업정지 명령이 내린 곳 외에 적기 시정조처가 유예돼 영업을 계속하고 있는 6곳도 포함됐다. 모두 11개 저축은행이 검찰 수사대상이라는 뜻이다. 이에 따라 진정될 기미를 보이던 저축은행에 추가 뱅크런(대량 예금 인출) 사태가 우려된다.
검찰은 이날 저축은행 비리에 강력 대처하기 위해 금감원·예금보험공사(예보) 등 관계기관과 합동수사단을 꾸려 수사에 나서기로 했다. 한상대 검찰총장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에서 전국 26개 지방검찰청의 특별수사 전담 차장·부장 검사 47명을 불러 모아 전국 특수부장 회의를 열고 이런 방침을 밝혔다. 한 총장은 “저축은행을 둘러싼 금융계의 도덕적 해이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번 기회에 시간과 인력에 구애받지 않고 수사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금감원은 19일 밤 부실 저축은행 11곳을 검찰에 고발했다. 고발대상엔 지난 18일 영업정지 조처가 내려진 7개 저축은행 가운데 △토마토(경기 성남) △제일(서울) △에이스(인천) △대영(서울) △파랑새(부산) 5곳이 포함됐다. 이미 수사를 받고 있는 프라임(서울)과 재무 상태가 상대적으로 건전한 제일2(서울)는 제외됐다. 여기에 금융위가 자체 정상화 가능성을 인정해 적기 시정조처를 유예한 저축은행 6곳이 포함된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추가 뱅크런 사태의 우려가 있어 수사대상 등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금감원이 넘긴 자료를 토대로 오는 22일 합동수사단의 구성과 수사 방향 등을 발표한 뒤 다음주 초부터 압수수색 등 본격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합동수사단은 검찰과 금감원, 예보, 금융위원회를 뼈대로 범정부적인 종합대처기구의 성격을 띠게 된다. 향후 필요에 따라 다른 기관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에 앞서 검찰과 관계기관들은 지난 18일 모여 합동수사단 구성을 긴급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수사단의 수사는 주로 신용공여 한도를 초과한 불법대출 등 금융위 발표 내용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대주주나 임직원들의 비리 수사로 번질 경우 감독기관의 검사 무마와 사업 인허가, 퇴출 저지 로비 등 부산저축은행그룹 수사와 유사하게 갈 수도 있어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