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액의 회삿돈 횡령에 가담한 의혹을 받고 있는 최태원 에스케이(SK)그룹 회장이 19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오고 있다. 신소영 기자 vaitor@hani.co.kr
497억 돈세탁 등 추궁…최 회장 혐의 부인
최 회장 200억대 비자금 조성 정황도 포착
검찰, 최 회장 형제 중 1명 영장청구 방침
최 회장 200억대 비자금 조성 정황도 포착
검찰, 최 회장 형제 중 1명 영장청구 방침
최태원(51) 에스케이(SK) 회장이 19일 회삿돈 횡령 혐의를 받고 있는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나왔다. 검찰은 최 회장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회삿돈 횡령·배임에 가담한 정도를 가린 뒤, 최 회장이나 동생 최재원(48) 수석부회장 가운데 1명의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할 계획이다.
이날 오전 9시25분께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최 회장은 ‘횡령 과정에 개입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개인적인 사안 때문에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 저를 둘러싼 의혹과 오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가능하면 성실히 설명하겠다”고 답한 뒤 조사실로 향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이중희)는 최 회장을 상대로 에스케이 계열사 자금이 창업투자사 베넥스인베스트먼트(베넥스)를 거쳐 선물투자 계좌로 흘러들어간 경위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검찰은 이미 김준홍(45) 베넥스 대표를 구속 기소하면서 김 대표의 횡령·배임 행위가 에스케이 총수 일가의 지시를 받고 이뤄진 여러 정황을 포착했다. 검찰은 2008년 10~11월 에스케이텔레콤과 에스케이씨앤씨에서 베넥스에 투자된 자금 497억원이 몇 단계의 돈세탁을 거쳐 에스케이 총수 일가의 선물투자를 대행한 김원홍 전 에스케이해운 고문의 계좌로 꽂힌 사실을 확인했다. 또 지난해 4월 김 대표는 최 부회장이 차명으로 갖고 있던 중소 컨설팅업체 아이에프글로벌(IFG) 주식 6593주를 적정가보다 8배 비싼 주당 350만원에 사들였고 매각대금 230억원 가운데 180억원이 최 부회장에게 건너간 사실도 확인됐다. 김 대표는 2008년 12월, 베넥스에 투자된 에스케이 계열사 자금 220억원을 정기예금 형식으로 ㅎ저축은행에 담보로 제공했으며, 이 덕에 최 부회장과 지인들 명의로 모두 900억원이 대출되기도 했다. 김 대표의 횡령·배임이 모두 에스케이 총수 일가의 선물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검찰은 에스케이 계열사 돈이 베넥스를 통해 총수 일가의 개인적인 선물투자금으로 전용되는 과정에 최태원·최재원 형제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룹 내 위상이나 영향력을 고려할 때 최 부회장이 단독으로 회삿돈을 유용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지만 최 회장은 자신의 혐의를 전부 부인하고 있다.
검찰은 이와 별개로 최 회장이 최근 5년 동안 임원들의 성과급을 부풀린 뒤 이를 빼돌리는 방식으로 20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도 포착하고 이날 최 회장을 상대로 비자금 조성 여부와 경위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최 회장은 검찰 조사에서 “그룹 재무팀에서 이런 방식으로 업무추진비를 조성한 걸 알지 못했고 이 돈은 대부분 경조사비나 국외법인 격려금으로 지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회장 쪽은 “회삿돈을 업무추진비 형식으로 회사를 위해 사용하면 ‘불법영득의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해 처벌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수사팀은 최 회장을 횡령 혐의로 기소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또 검찰은 최 회장 일가의 선물투자를 전담한 김원홍 전 에스케이해운 고문의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중국에 범죄인 인도 청구도 요청했다. 검찰은 김 전 고문의 국내 송환이 늦어지더라도 최 회장 조사를 끝으로 일단 ‘주범’을 확정한 뒤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추가 수사를 계속할 계획이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검찰이 수사중인 SK 총수 일가 비리 의혹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