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창성동 정부중앙청사 별관 1층에 부서 안내판이 붙어 있다. 안내판에 나오는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은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이름을 바꾼 부서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민간인사찰 드러나는 윗선]
사찰 몸통 비춘 ‘진경락 문건’ 공개
사찰 몸통 비춘 ‘진경락 문건’ 공개
류충렬 말바꾸기 계속되자 검찰 “류씨 진술 납득 안돼”
주변인물 계좌추적 등 수사…청와대 돈 확인땐 일파만파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이 비선을 통해 청와대의 지휘를 받는 조직이었다는 내용의 문건이 공개되자, 장진수 전 지원관실 주무관에게 ‘입막음용’으로 건네진 ‘관봉’ 5000만원이 청와대에서 나왔다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민간인 사찰과 증거인멸 사건의 불똥이 청와대로 튀는 것을 막으려고 청와대가 장 전 주무관을 회유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지난 3월 5000만원을 받았다고 폭로한 장 전 주무관은 “류충렬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이 ‘장석명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돈을 건넸다”고 밝힌 바 있다. 5만원권 관봉 형태의 이 돈은 장 전 주무관이 지원관실 하드디스크를 파괴한 혐의(증거인멸)로 항소심 재판에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다음날 전달됐다. 공무원 재임용이 가능한 벌금형 선고를 기대했던 장 전 주무관이 1심과 같은 집행유예형을 받고 ‘폭발 직전’이 되자, 청와대에서 부랴부랴 돈을 만들어 그에게 전달한 정황이 짙었다. “장석명 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돈을 건네면서 장 전 주무관을 위로했다는 류 전 복무관은 그러나, 검찰의 재수사가 시작되자 자신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류 전 관리관은 “안타까운 마음에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이라고 해명했다가 그 뒤 “지인에게 부탁해 마련한 돈”이라고 말을 바꿨다. 그리고 지난 4월 검찰에 나와서는 “지난 1월에 숨진 장인에게서 받은 돈”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은 류 전 관리관이 5000만원의 출처를 ‘숨진 장인’에게 떠넘기는 진술은 신빙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류 전 관리관과 장 비서관 본인, 그리고 가족 계좌 등을 광범위하게 추적하고, 5000만원 전달이 이뤄진 즈음에 청와대 주변 시중은행 지점에서 거액을 빼낸 인출자 명단도 훑었지만 뚜렷한 단서를 포착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관봉 돈다발 사진에서 보이는 띠지의 일련번호를 통해 추적에 나섰지만,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관봉이 나갈 때 기록이 남지 않기 때문에 이마저도 벽에 부닥쳤다. 결국 돈을 전달한 류 전 관리관의 입을 어떻게 열지가 ‘관건’이다. 관봉의 출처가 청와대로 드러나면 파장은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국민의 세금을 전용했다면 이는 정권의 도덕적 기반을 무너뜨리는 일이다. 검찰은 이 돈이 대통령 특수활동비에서 지출됐을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 대통령 특수활동비는 연간 110억원가량으로, 특별한 업무 수행에 사용하는 예산이며 영수증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검찰은 민간인 사찰과 증거인멸에 드리운 청와대의 그림자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5000만원 관봉의 출처를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비선 통해 ‘VIP 보고’ 명시…‘사찰 몸통=대통령’ 암시
■ 젊은 승려들 “포커가 재미? 부처님 욕보이는 발언”
■ 통합진보당, 한지붕 두 비대위
■ ‘코리아 좀비’ 정찬성 “아우두 나와!”
■ 불청객 황사, 다 어디갔어?
주변인물 계좌추적 등 수사…청와대 돈 확인땐 일파만파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이 비선을 통해 청와대의 지휘를 받는 조직이었다는 내용의 문건이 공개되자, 장진수 전 지원관실 주무관에게 ‘입막음용’으로 건네진 ‘관봉’ 5000만원이 청와대에서 나왔다는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민간인 사찰과 증거인멸 사건의 불똥이 청와대로 튀는 것을 막으려고 청와대가 장 전 주무관을 회유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지난 3월 5000만원을 받았다고 폭로한 장 전 주무관은 “류충렬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이 ‘장석명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돈을 건넸다”고 밝힌 바 있다. 5만원권 관봉 형태의 이 돈은 장 전 주무관이 지원관실 하드디스크를 파괴한 혐의(증거인멸)로 항소심 재판에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다음날 전달됐다. 공무원 재임용이 가능한 벌금형 선고를 기대했던 장 전 주무관이 1심과 같은 집행유예형을 받고 ‘폭발 직전’이 되자, 청와대에서 부랴부랴 돈을 만들어 그에게 전달한 정황이 짙었다. “장석명 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돈을 건네면서 장 전 주무관을 위로했다는 류 전 복무관은 그러나, 검찰의 재수사가 시작되자 자신은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류 전 관리관은 “안타까운 마음에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이라고 해명했다가 그 뒤 “지인에게 부탁해 마련한 돈”이라고 말을 바꿨다. 그리고 지난 4월 검찰에 나와서는 “지난 1월에 숨진 장인에게서 받은 돈”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은 류 전 관리관이 5000만원의 출처를 ‘숨진 장인’에게 떠넘기는 진술은 신빙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류 전 관리관과 장 비서관 본인, 그리고 가족 계좌 등을 광범위하게 추적하고, 5000만원 전달이 이뤄진 즈음에 청와대 주변 시중은행 지점에서 거액을 빼낸 인출자 명단도 훑었지만 뚜렷한 단서를 포착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관봉 돈다발 사진에서 보이는 띠지의 일련번호를 통해 추적에 나섰지만, 한국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관봉이 나갈 때 기록이 남지 않기 때문에 이마저도 벽에 부닥쳤다. 결국 돈을 전달한 류 전 관리관의 입을 어떻게 열지가 ‘관건’이다. 관봉의 출처가 청와대로 드러나면 파장은 만만찮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국민의 세금을 전용했다면 이는 정권의 도덕적 기반을 무너뜨리는 일이다. 검찰은 이 돈이 대통령 특수활동비에서 지출됐을 가능성도 살펴보고 있다. 대통령 특수활동비는 연간 110억원가량으로, 특별한 업무 수행에 사용하는 예산이며 영수증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검찰은 민간인 사찰과 증거인멸에 드리운 청와대의 그림자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5000만원 관봉의 출처를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황춘화 기자 sflower@hani.co.kr
| |
■ 비선 통해 ‘VIP 보고’ 명시…‘사찰 몸통=대통령’ 암시
■ 젊은 승려들 “포커가 재미? 부처님 욕보이는 발언”
■ 통합진보당, 한지붕 두 비대위
■ ‘코리아 좀비’ 정찬성 “아우두 나와!”
■ 불청객 황사, 다 어디갔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