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정수장 조류대응…’ 문서 공개
‘유속 느려져 조류 대량 발생 가능성’ 분석
‘유속 느려져 조류 대량 발생 가능성’ 분석
환경부가 지난 3월 4대강 사업의 핵심인 보 건설로 인한 강물의 체류시간 증가를 녹조 확산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꼽고 조류 대량발생 때 조처 요령을 담은 문서를 전국 정수장 등 유관기관에 배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정부는 녹조 현상과 4대강 사업의 연관성을 부인해왔다.
14일 대구경북녹색연합이 환경부로부터 입수해 공개한 ‘정수장 조류 대응 가이드라인’ 문서를 보면, 환경부는 “상수원의 체류시간 등 하천의 수리·수문환경 변화와 기후 온난화로 조류의 대량증식 발생 가능성이 증대됐다”는 분석을 내놨다. 체류시간 증가에 대해서는 “그간 국내 주요 수계에서 다수의 댐 및 보가 건설된 것”을 이유로 꼽았다. 4대강 사업으로 보가 건설돼 유속이 느려져 조류가 대량 증식하기 좋은 여건이 조성됐다는 것이다. 최근 녹조 현상의 원인 가운데 하나가 4대강 사업의 핵심인 보 건설 때문임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셈이다. 환경부는 지난 3월 이 문서를 작성해 배포했다.
환경부의 이런 조처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7일 국무회의에서 4대강에서 발생한 녹조현상에 대해 “장기간 비가 오지 않고 폭염이 지속돼 발생하는 불가피한 현상”이라며 자연 탓으로 돌린 것과는 뚜렷하게 대조된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도 “녹조와 4대강 사업은 관련이 없다”고 했다.
또 환경부 문서에는 비가 온 뒤에도 “강우로 유입된 영양물질과 일사량의 증가로 다시 남조류의 대량증식이 급속히 일어나는 특징”을 보인다며 적절히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환경부는 A4 용지 41쪽 분량인 이 문서에서 ‘정수처리 공정별 조치 요령’을 대책으로 언급했을 뿐, 보나 댐의 개방 문제 등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이재혁 대구경북녹색연합 운영위원장은 “결국 이 문서는 최근 녹조현상의 원인이 4대강에 댐과 보를 건설한 것 때문임을 정부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조류와 관련된 대응 가이드라인까지 만들어 배포해놓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녹조가 4대강 사업과 무관하다’, ‘비가 오면 녹조는 해소된다’라는 식으로 거짓 홍보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문서를 작성한 환경부 수도정책과 관계자는 “녹조 현상의 원인으로 4대강 사업을 지목한 것이 아니라 단지 여러 가지 가능성을 나열한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장준하 선생 유족과 화해 시도했지만…
■ 박근혜 경선 캠프 벌써 ‘권력·노선투쟁’ 조짐
■ 안철수쪽 페이스북에 ‘진실의 친구들’ 개설
■ 망막 전달신호 해독…시각장애인 ‘빛볼 날’ 성큼
■ 우리나라서 올림픽 폐막식을 했다면 어땠을까?
■ ‘고의패배’ 배드민턴 대표팀 코치진 제명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 박근혜, 장준하 선생 유족과 화해 시도했지만…
■ 박근혜 경선 캠프 벌써 ‘권력·노선투쟁’ 조짐
■ 안철수쪽 페이스북에 ‘진실의 친구들’ 개설
■ 망막 전달신호 해독…시각장애인 ‘빛볼 날’ 성큼
■ 우리나라서 올림픽 폐막식을 했다면 어땠을까?
■ ‘고의패배’ 배드민턴 대표팀 코치진 제명
■ [화보] 연재가 돌아왔어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