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영상. 기사와는 직접적인 관계 없음./한겨레 자료사진
아주대병원 핵의학과 12명 대상 조사
뇌 혈류량·당 대사 기능 감소해
뇌 혈류량·당 대사 기능 감소해
성폭행을 당한 여성들이 정신적 피해는 물론 뇌 혈류량이 줄어드는 등 심각한 신체적 부작용을 함께 겪는다는 사실이 국내 의료진에 의해 확인됐다고 <연합뉴스>가 3일 전했다. 그동안 전쟁이나 재난을 겪은 환자들에게서 뇌 기능 이상이 관찰된 적은 있지만, 성폭행 피해 여성들에게서 이런 이상이 검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연합뉴스>는 설명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아주대병원 핵의학과 안영실 교수팀은 국내에서 성폭행을 당한 19~51세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뇌를 검사한 뒤, 이를 성폭행을 당하지 않은 여성 15명(32~53세)의 뇌영상과 비교분석했다. 연구팀은 특히 성폭행 피해 여성을 포함해 모두 2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뇌 영상을 볼수 있는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한 뒤 ‘뇌영상분석프로그램’(SPM2)으로 뇌 혈류량과 당 대사를 비교관찰했다.
뇌 혈류량을 보는 것은 뇌혈관에 피가 얼마나 잘 도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고, 당 대사 검사는 당만 에너지로 쓰는 뇌가 이 에너지를 골고루 활용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성폭행 피해 여성들은 검사 당시 성폭행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진단을 받은지 평균 9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고 <연합뉴스>는 설명했다.
분석 결과 성폭행 피해 여성들은 뇌의 좌측 ‘해마’(hippocampus)와 ‘기저핵’(basalganglia) 부분의 뇌 혈류가 성폭행을 당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뇌의 당 대사 기능도 성폭행을 당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좌측 해마, 상측 측두엽, 중심전회 부위에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뇌 혈류가 줄어들고 당 대사 기능이 떨어진 것은 성폭행 기억을 떠올리지 않으려는 피해 여성들의 행동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신경생리학적 증상에서 비롯한 것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성폭행 피해 여성들의 뇌영상에서는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등의 과다 각성상태도 관찰됐다. 안영실 교수는 <연합뉴스>에서 “특히 두려움과 공포심 등을 관장하는 해마 부위에 뇌 혈류량이 감소한 것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이 나쁜 기억을 억누르거나 잊으려 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며 “성폭행 피해 여성들이 피해 당시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2차, 3차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정신과 분야 국제학술지 <정신의학연구>(Psychiatry Research:Neuroimaging) 최근호에 발표됐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조정래 “박근혜, 겉은 육영수 속은 박정희” 대통령 되면 ‘곤란’
■ 최악 치닫던 한-일, 진정 단계로 전환?
■ 대학가 암시장, ‘강의 사고 팝니다’
■ 은행에서 10%대 급전 빌리세요
■ 오바마 맥주 “비법은 벌꿀”
■ “나주 성폭행 범인 고씨, 피해자 고통에 공감 못해”
■ [화보] 우산의 수난시대
■ 조정래 “박근혜, 겉은 육영수 속은 박정희” 대통령 되면 ‘곤란’
■ 최악 치닫던 한-일, 진정 단계로 전환?
■ 대학가 암시장, ‘강의 사고 팝니다’
■ 은행에서 10%대 급전 빌리세요
■ 오바마 맥주 “비법은 벌꿀”
■ “나주 성폭행 범인 고씨, 피해자 고통에 공감 못해”
■ [화보] 우산의 수난시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