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9일 공개한 불산가스 누출 사고 당시 현장에서 5m 떨어진 공장 외벽의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녹화 화면. 탱크로리 밸브에서 누출된 불산가스가 기화하면서 순식간에 희뿌연 연기를 내뿜으며 작업자를 덮치고 있다. 경북지방경찰청 제공/뉴스1
구미 불산사고 CCTV 공개…안전불감증이 부른 인재
관리책임자 없었고 공정도 안지켰다 인건비 줄이려 공장장 수 축소
사고 당일 다른 공장에 있어 노동자들 평소 작업속도 압박에
모든 밸브 마개 열어놓고 일해
장갑·마스크 외 안전장구 안한듯 지난달 27일 경북 구미 국가산업단지 안 화학제조 공장 안에서 일어난 불산(불화수소산) 가스 누출 사고는 안전관리 부실과 작업지침 위반 등이 빚어낸 인재였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사고 당시 공장 안전관리 책임자는 자리를 비운 상태였으며, 안전 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들은 작업속도를 내려고 안전지침을 어긴 채 작업하다 사고를 낸 것으로 밝혀졌다. 경북지방경찰청이 9일 공개한 사고 당시 현장의 폐회로텔레비전(CCTV) 화면을 보면, 직원 박아무개(24·사망)씨와 이아무개(26·사망)씨, 최아무개(30·사망)씨 등 3명은 20t짜리 탱크로리 위에서 에어밸브와 원료밸브가 잠긴 상태에서 에어호스와 원료호스를 각각 연결한 뒤 밸브를 열어야 하는 작업공정을 무시하고 두개의 플랜지(밸브 마개)를 한꺼번에 제거한 뒤 작업을 진행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최씨는 작업장을 찾아온 드럼펌프 수리기사 이아무개(41·사망)씨를 만나기 위해 탱크로리 아래로 내려갔고, 나머지 두명은 탱크로리 위에서 에어호스를 끌어와 에어밸브와 연결하는 작업을 했다. 박씨는 탱크로리 위의 원료밸브 앞, 이씨는 에어밸브 앞에 쪼그리고 앉았다. 그 순간 에어밸브를 에어호스와 연결하던 박씨의 몸이 앞으로 기우뚱했고, 그의 오른발이 앞으로 푹 꺼졌다. 곧이어 탱크로리에서 기화된 불산이 흰 연기와 함께 뿜어져 나와 작업자들을 덥쳤다. 당시 이들은 장갑과 마스크만 착용하고 있었을 뿐, 별다른 안전 장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았다. 경찰은 평소 작업을 빨리 하기 위해 밸브 플랜지를 모두 열어놓고 작업해 왔으며, 공장에 비치된 안전 장구도 덥거나 불편하다는 이유로 거의 착용하지 않았다는 진술을 공장 관계자한테서 받아냈다고 밝혔다. 사고 당일 공장장 장아무개(47)씨는 충북 음성공장에 가 자리를 비웠고, 안전관리자 윤아무개(41)씨는 공장 사무실에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회사 쪽이 인건비를 아끼려고 무리하게 인력을 줄이다 보니 공장장 혼자 공장 두곳을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찰은 회사의 안전관리 부실이 드러난 만큼 ㈜휴브글로벌 대표 허아무개(48)씨와 공장장 장씨, 안전관리자 윤씨 등 3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고로 9일까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사람들은 5733명으로, 전날(4261명)과 견줘 1472명이 늘어났다. ‘구미 불산사고 주민 건강영향 공동조사단’의 우극현 단장(순천향대 교수)은 “불산 노출의 영향은 발현될 만큼 발현됐고, 자극증상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나아질 것”이라며 “문제는 주민들이 받은 충격에 의한 외상후 증후군”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교통사고가 난 정도로 대비해 너무 소홀히 했다”며 “초기 대응이 미흡했던 경위를 총리실에서 밝혀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구미/김일우 기자, 김정수 선임기자, 안창현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불통 부른 문고리 권력”…‘비서 4인방’에 비난 화살
■ 종편, 손실 1천억원대·시청률 0.4% ‘총체적 부실’
■ 싸이-김장훈, 무관심이 필요한 때
■ 롬니 ‘TV토론’으로 한판승…오바마의 승부수는?
■ ‘골목상권 침범’ 국감 증인 채택된 유통3사 총수들 ‘도피성 외국행’
■ 100억 머신들이 광속으로 몰려온다
■ [화보] 박근혜와 안철수가 만났다
관리책임자 없었고 공정도 안지켰다 인건비 줄이려 공장장 수 축소
사고 당일 다른 공장에 있어 노동자들 평소 작업속도 압박에
모든 밸브 마개 열어놓고 일해
장갑·마스크 외 안전장구 안한듯 지난달 27일 경북 구미 국가산업단지 안 화학제조 공장 안에서 일어난 불산(불화수소산) 가스 누출 사고는 안전관리 부실과 작업지침 위반 등이 빚어낸 인재였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사고 당시 공장 안전관리 책임자는 자리를 비운 상태였으며, 안전 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들은 작업속도를 내려고 안전지침을 어긴 채 작업하다 사고를 낸 것으로 밝혀졌다. 경북지방경찰청이 9일 공개한 사고 당시 현장의 폐회로텔레비전(CCTV) 화면을 보면, 직원 박아무개(24·사망)씨와 이아무개(26·사망)씨, 최아무개(30·사망)씨 등 3명은 20t짜리 탱크로리 위에서 에어밸브와 원료밸브가 잠긴 상태에서 에어호스와 원료호스를 각각 연결한 뒤 밸브를 열어야 하는 작업공정을 무시하고 두개의 플랜지(밸브 마개)를 한꺼번에 제거한 뒤 작업을 진행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최씨는 작업장을 찾아온 드럼펌프 수리기사 이아무개(41·사망)씨를 만나기 위해 탱크로리 아래로 내려갔고, 나머지 두명은 탱크로리 위에서 에어호스를 끌어와 에어밸브와 연결하는 작업을 했다. 박씨는 탱크로리 위의 원료밸브 앞, 이씨는 에어밸브 앞에 쪼그리고 앉았다. 그 순간 에어밸브를 에어호스와 연결하던 박씨의 몸이 앞으로 기우뚱했고, 그의 오른발이 앞으로 푹 꺼졌다. 곧이어 탱크로리에서 기화된 불산이 흰 연기와 함께 뿜어져 나와 작업자들을 덥쳤다. 당시 이들은 장갑과 마스크만 착용하고 있었을 뿐, 별다른 안전 장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았다. 경찰은 평소 작업을 빨리 하기 위해 밸브 플랜지를 모두 열어놓고 작업해 왔으며, 공장에 비치된 안전 장구도 덥거나 불편하다는 이유로 거의 착용하지 않았다는 진술을 공장 관계자한테서 받아냈다고 밝혔다. 사고 당일 공장장 장아무개(47)씨는 충북 음성공장에 가 자리를 비웠고, 안전관리자 윤아무개(41)씨는 공장 사무실에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회사 쪽이 인건비를 아끼려고 무리하게 인력을 줄이다 보니 공장장 혼자 공장 두곳을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찰은 회사의 안전관리 부실이 드러난 만큼 ㈜휴브글로벌 대표 허아무개(48)씨와 공장장 장씨, 안전관리자 윤씨 등 3명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고로 9일까지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사람들은 5733명으로, 전날(4261명)과 견줘 1472명이 늘어났다. ‘구미 불산사고 주민 건강영향 공동조사단’의 우극현 단장(순천향대 교수)은 “불산 노출의 영향은 발현될 만큼 발현됐고, 자극증상은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나아질 것”이라며 “문제는 주민들이 받은 충격에 의한 외상후 증후군”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교통사고가 난 정도로 대비해 너무 소홀히 했다”며 “초기 대응이 미흡했던 경위를 총리실에서 밝혀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고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구미/김일우 기자, 김정수 선임기자, 안창현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불통 부른 문고리 권력”…‘비서 4인방’에 비난 화살
■ 종편, 손실 1천억원대·시청률 0.4% ‘총체적 부실’
■ 싸이-김장훈, 무관심이 필요한 때
■ 롬니 ‘TV토론’으로 한판승…오바마의 승부수는?
■ ‘골목상권 침범’ 국감 증인 채택된 유통3사 총수들 ‘도피성 외국행’
■ 100억 머신들이 광속으로 몰려온다
■ [화보] 박근혜와 안철수가 만났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