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
10.26 안중근의사 의거일 기념, 5명선정 발표
“쿠데타 집권 민중학살뒤 반성 기미 없어”
권성 언론중재위원장, 안병직 교수도 포함
“쿠데타 집권 민중학살뒤 반성 기미 없어”
권성 언론중재위원장, 안병직 교수도 포함
안중근 의사 기념사업회 등 2곳서 선정
전두환 전 대통령이 독립운동가 단체가 발표한 ‘신을사오적’ 가운데 1위를 자치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을사오적은 원래 1905년 한-일 을사늑약 체결 당시 조약에 찬성한 이완용, 이지용, 이근택, 박제순, 권중현 등 5명을 지칭하는 말이다
‘운암 김성숙선생 기념사업회’(회장 민성진)와 ‘안중근 의사 기념사업회’(이사장 함세웅)는 지난 26일 안중근의사 의거 103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학술대회를 열고 이 자리에서 신을사오적을 발표했다.
2천명이 5명을 선정하는 방식의 설문을 통해 선정된 이번 신을사오적에서 1위는 전두환 전 대통령이 차지했다. 전 전 대통령은 총 1만표 가운데 1106표를 얻었다. 단체들은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해 민중학살과 민중탄압의 독재정치를 했으며, 거액의 추징금을 내지 않는 등 반성의 기미가 없다”고 선정의 이유를 밝혔다
2위로는 권성 언론중재위원장이 선정됐다. 선정 이유는 “권 위원장이 1997년 서울고등법원 판사시절 “반민족행위나 그의 후손이라고 해서 재산에 대한 법의 보호를 거부하는 것은 법치국가서 있을 수 없다’는 논리로 친일파 이완용 후손들에게 손을 들어줘 친일파들의 재산소송에서 원고승소를 끄는 판례로 활용됐다”였다.
이 밖에 친일파를 위한 변명이라는 책 등으로 친일파 옹호발언을 했던 김완섭 작가, “독도도 일본 것이라고 주장할 만한 그들 나름대로의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망언을 한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 애국가 논란을 불러 일으킨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이 3·4 ·5위를 차지했다.
운암 김성숙선생 기념사업회의 민성진 회장은 “나라를 팔아먹은 이완용처럼 국익에 해를 끼치는 인물을 선정해 ‘신을사오적’ 이라는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그 속에 담긴 뜻을 다시 한번 되새기라는 경고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신을사오적은 지난 9월부터 1차 후보군 선정, 2차 순위조사 등 2차례에 걸쳐 인터넷 및 이메일 설문 조사로 선정했으며, “신뢰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2.15%”라고 단체들은 밝혔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이마트의 강아지, 무이자 할부 인생
■ 호국훈련 중 매복하던 군인, 총에 맞아 중상
■ 맏며느리의 ‘웬수’, 시어머니 귀염받는 아랫동서
■ 최필립은 본래 ‘최태민 마크맨’이었다
■ 공지영 “5년 전 그, 결혼 않고 헤어져서 좋았어요”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이마트의 강아지, 무이자 할부 인생
■ 호국훈련 중 매복하던 군인, 총에 맞아 중상
■ 맏며느리의 ‘웬수’, 시어머니 귀염받는 아랫동서
■ 최필립은 본래 ‘최태민 마크맨’이었다
■ 공지영 “5년 전 그, 결혼 않고 헤어져서 좋았어요”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