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불산 사고 ‘민·관 합동 환경영향조사단’에 참여해 활동해온 구미시 산동면 주민 대표들과 민간위원들이 5일 오후 구미코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사단에서 사퇴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구미/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주민·민간위원 12명중 7명 사퇴
“환경부쪽 인사 많아 관이 주도
빨리 사태 마무리할 생각만 해”
“환경부쪽 인사 많아 관이 주도
빨리 사태 마무리할 생각만 해”
경북 구미 불산(불화수소산) 누출 사고 이후 가동해온 ‘민·관 합동 환경영향조사단’이 주민대표와 민간위원들의 잇따른 사퇴로 파행을 겪고 있다. 정부가 조사의 신뢰를 높이겠다는 취지로 주민대표 등이 참여한 합동조사단을 꾸렸으나, 조사단 구성과 운영 방식의 문제점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출범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반쪽’ 조사단에 그치게 됐다.
민간위원인 김해동 계명대 교수, 조근래 구미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국장, 류승원 영남자연생태보존회장, 주민대표인 김상호 봉산리 대책부위원장, 박찬욱 봉산리 대책위원 등 5명은 5일 오후 구미시 컨벤션센터인 구미코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조사단에서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조사단에 환경부 의도가 반영된 인사가 많아, 결국 관 주도 조사기구로 흘러갔다”며 “주민들의 불안은 여전한데 조사단은 문제가 없다는 발표를 하며 사태를 빨리 마무리할 생각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조사단은 지난달 31일 불산 누출 사고 피해지역의 대기·하천수·지하수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불산 피해지역의 환경 영향은 현재까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지난달 9일에는 임천리 주민대표 박수호 임천리 이장 등 2명이 사퇴했다. 이어 조사단 부단장을 맡았던 이재혁 대구경북녹색연합 운영위원장도 지난달 17일 물러났다.
24명으로 출범했던 조사단에는 주민대표 4명과 민간위원 8명이 포함돼 있었는데, 이 가운데 7명이 사퇴하면서 결국 민간위원 5명만 남게 돼 사실상 ‘관 주도 기구’로 바뀌었다.
이번 사태는 조사단이 민간위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마찰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민간위원들의 의견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뒷말도 잇따랐다.
조사단에 참가하고 있는 윤웅로 대구지방환경청 기획과장은 “주민 신뢰를 얻기 위해 민·관이 함께 합동조사단을 구성했는데 이런 결과가 나와 당황스럽다”며 “사퇴 의사를 밝힌 주민대표와 민간위원들이 복귀하도록 설득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구미/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사진 삭제된 이유가 ‘독자 항의’ 때문?
■ 영문 모른채 경찰에 끌려간뒤 4년4개월 ‘무죄 투쟁’
■ 삼성, 임직원 자녀 70% 뽑는 자사고 만든다
■ 피의자한테 성접대 받은 ‘비리경찰’
■ “우리 사귀어요” 진취적 여성상 뜨는 이유가…
■ 구글 ‘넥서스7’ 먼저 써보니…
■ [화보] 비가 와도 괜찮아
■ 박근혜 사진 삭제된 이유가 ‘독자 항의’ 때문?
■ 영문 모른채 경찰에 끌려간뒤 4년4개월 ‘무죄 투쟁’
■ 삼성, 임직원 자녀 70% 뽑는 자사고 만든다
■ 피의자한테 성접대 받은 ‘비리경찰’
■ “우리 사귀어요” 진취적 여성상 뜨는 이유가…
■ 구글 ‘넥서스7’ 먼저 써보니…
■ [화보] 비가 와도 괜찮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