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월 15만원…대학생들의 ‘착한 과외’

등록 2013-02-13 20:42수정 2013-02-13 22:44

50여명 협동조합 설립 나서
“지역사회 기여·알바 일석이조”
지난 1월,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주택가에 전단지가 나붙었다. ‘착한 과외, 월 15만원.’ 중3과 고1 자녀를 둔 이정화(44)씨의 눈이 번쩍 뜨였다. “너무 싸서 믿기지 않더라고요.”

두 아이에게 각각 30만원, 40만원씩 들어가던 과외비가 부담스러워 과외를 끊은 지 몇달이 지난 터였다. 이씨는 반신반의하며 전단지에 적힌 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과외비도 저렴하지만 이웃 동네에 사는 대학생들이 공부를 가르쳐준다는 게 마음에 들었어요.”

전단지를 붙인 것은 ‘대학생 과외 협동조합’이었다. 지난해 11월, 경희대를 다니는 이건욱(25)씨의 제안에서 비롯한 모임이다. 이씨는 경희대 교양과정인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시민교육’ 강좌를 수강했다. 대학생으로서 어떻게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됐다. ‘교육’을 매개로 삼으면 좋겠다 싶었다. “대학생은 학자금 대출 갚으려고 아르바이트에 허덕이고, 학부모들은 사교육비 때문에 힘들잖아요. 질 좋고 값싼 과외가 있다면 지역의 대학생과 학부모들이 상생할 수 있겠다 싶었어요.”

이씨는 대학생 과외 협동조합 설립을 추진했다. 나름의 기준부터 세웠다. 주 2회 강습 기준 월 과외비를 ‘시세’의 절반인 15만원으로 책정했다. 학년·과목 관계없이 초·중·고생 누구나 같은 금액이다. 이들을 가르치는 ‘조합원 대학생’은 월 3000원을 조합에 납부한다. 돈이 모이면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한 교육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문동에 자리잡은 경희대와 한국외대 게시판에 제안글을 올렸다. 지난해 11월 이후 두달 만에 가입 신청자가 50명을 넘었다. “과외 알선업체들이 수수료 명목으로 20만~30만원씩 떼가는 것을 생각하면, 안정적으로 과외 아르바이트를 계속할 수 있고 공익적 목적도 있어 학생들의 관심이 많다”고 이씨는 설명했다.

이씨는 오는 20일 열리는 총회를 거쳐 정식으로 협동조합 등록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12월 제정된 ‘협동조합 기본법’에 따라 일정한 요건만 갖추면 누구나 지자체에 협동조합 설립을 신고할 수 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자 전격 사퇴
적게 쓰면 돈 더내라? 황당 전기요금 개편안
탐나는도다 쏘맥자격증
‘브라자 공장’에 간 남자 “E, F컵 너무 커서…”
날벼락 맞은 레슬링 “희망은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