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발생한 경북 경주 월성원자력발전소 4호기 냉각수 누출은 작업자의 실수뿐만 아니라 정비 절차서의 부실에 따른 사고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김제남 진보정의당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정비 절차서에 증기발생기 내부 압력 평형상태 유지를 위한 조작 절차는 있지만, 정비 때 이를 확인하는 절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수원도 재발방지 대책으로 “압력을 확인하는 절차를 추가하는 등 절차서를 보완하고, 운전원 및 정비원 교육훈련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원자로 가동을 멈추고 정비중인 월성원전 4호기의 증기발생기를 수리하던 작업자가 내부에 잔여 압력이 있는 것을 모르고 출입구를 개방해 발생했다. 냉각수(중수)가 흐르는 관의 압력 균형이 깨지며 수위가 올라가고 원자로 내부로 누출된 것이다. 김제남 의원은 “원전에서는 작은 실수도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에 절차서에 따른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데, 가장 기본적인 절차서마저 엉터리”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한수원이 143㎏이라고 밝힌 냉각수 누출량도 최종 집계 결과 155㎏이었고, 이를 전량 회수했다고 했지만 32㎏은 기체 상태로 외부로 배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방사성 물질에 노출된 냉각수가 원자로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은 큰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데, 이를 이틀 뒤에야 공개한 데 대한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과 경주핵안전연대는 공동성명을 내어 “아무리 적은 양이라 하더라도 중수 누출은 원전 안전은 물론 노동자와 주변 환경에 피해를 미치기 때문에 양에 상관없이 즉각 공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한수원 관계자는“누출량 최종 집계 결과는 26일 오후 월성원전 민간환경감시기구 설명회에서 밝힌 내용으로 축소 발표는 아니다. 기체 상태로 배출된 냉각수는 필터를 통해 정화 과정을 거친 것으로 배출된 양도 월간 배출 허용치의 2.7%, 연간 배출 허용치의 0.22%”라고 해명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한상진 “총선망쳤던 지도부가 대선 지고도 다시 당권경쟁”
■ 연금 개편안, 제일 피해보는 사람은?
■ 김병관, 천안함 애도기간에도 골프
■ 황교안 법무장관 후보자 병역면제 사유는 ‘두드러기’
■ ‘거포 3인방’ 컨디션 100%…WBC 첫 우승 넘본다
■ 한상진 “총선망쳤던 지도부가 대선 지고도 다시 당권경쟁”
■ 연금 개편안, 제일 피해보는 사람은?
■ 김병관, 천안함 애도기간에도 골프
■ 황교안 법무장관 후보자 병역면제 사유는 ‘두드러기’
■ ‘거포 3인방’ 컨디션 100%…WBC 첫 우승 넘본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