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정족수 못채워 개표도 못해
김영훈 위원장 사퇴한지 6개월째
비정규직 투쟁 차질 등 우려 커져
김영훈 위원장 사퇴한지 6개월째
비정규직 투쟁 차질 등 우려 커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7기 위원장 선출이 또 무산됐다. 지난해 11월7일 김영훈 전 위원장이 임원 직선제 도입 불발의 책임을 지고 사퇴한 지 6달째에 접어든 지도부 공백상태가 장기화할 조짐이다.
민주노총은 23일 서울 노원구 노원구민회관에서 제58차 대의원대회를 열어 단독 출마한 이갑용 전 민주노총 위원장과 강진수 한국지엠지부 교육선전실장 후보조에 대한 찬반투표를 진행했으나 918명의 대의원 가운데 과반에 못 미치는 442명만이 참석해 개표조차 하지 못했다.
앞서 민주노총은 3월20일 이갑용-강진수 후보조와 백석근(민주노총 비대위원)-전병덕(전 민주노총 부위원장) 후보조를 두고 새 지도부 구성을 위한 선거를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이갑용-강진수 후보조가 과반 득표에 실패해 2차 찬반투표를 벌였으나, 결선투표를 하기 전 남은 대의원들이 돌아가는 바람에 투표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선거가 무산됐다.
이날 또 위원장 선출이 불발됨에 따라 민주노총의 지도부 공백 사태는 장기화할 전망이다. 민주노총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재선거 공고를 낸 뒤 2주 동안의 선거운동을 거쳐 새 위원장을 뽑으려면 7월은 돼야 할 것으로 민주노총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이런 상황이 민주노총 내부 노선투쟁의 결과물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급진파 쪽은 “그동안 민주노총 지도부를 장악했던 온건파에 대한 심판이 선거 무산의 결과로 나타났다”고 분석한다. 온건파 쪽 인사는 “급진파였던 이갑용 후보에 대한 반감이 불러온 결과다”라고 말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는 민주노총 간부는 “그동안 있어왔던 계파 싸움이 드러난 선거 결과로, 지도부 공백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금속노조 현대차 비정규지회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비정규직 투쟁과 관련해 상위 노조의 힘이 절실한데, 그곳조차 통일되지 않는다면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4500원 더 벌려 잔업하는데…천장 와르르”
■ KBS ‘수신료 인상안’ 다시 꿈틀
■ ‘원조 오빠’의 마법에 빠지다
■ 포스코에너지, 승무원 폭행 임원 사표 수리
■ ‘간 손상 우려’ 어린이 타이레놀 시럽 판매금지
■ “4500원 더 벌려 잔업하는데…천장 와르르”
■ KBS ‘수신료 인상안’ 다시 꿈틀
■ ‘원조 오빠’의 마법에 빠지다
■ 포스코에너지, 승무원 폭행 임원 사표 수리
■ ‘간 손상 우려’ 어린이 타이레놀 시럽 판매금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