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상이 기부금 형태로 제공
정부 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전형근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이 기부금 형식으로 거액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수사의뢰된 대형 병원들 중 3곳에 대한 사건을 배당받아 수사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수사 대상은 고려대안암병원과 서울성모병원, 인제백병원 등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2일 이들 3곳과 함께 세브란스병원, 원광대병원, 건국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등을 의약품 도매상들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검찰에 수사의뢰했고, 대검찰청은 각 관할 지방검찰청에 배당했다.
복지부는 도매상들이 이들 병원에 의약품을 납품하면서 영업이익의 일부를 병원의 법인이나 관련 단체에 기부 형식으로 제공한 의혹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각 병원들의 리베이트 혐의 액수는 세브란스병원(360억원)이 가장 많고 서울성모병원(250억원), 원광대병원(20억원대), 건국대병원(15억원), 대구가톨릭대병원(14억원), 고려대안암병원(4억원) 차례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부금 형태의 리베이트 적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복지부는 각 병원에 의약품을 납품한 도매상들도 함께 수사의뢰했다. 복지부는 이들 병원이 의도적으로 중간에 전담 도매상을 끼고 의약품을 납품받아온 것으로 보고 있다. 제약회사가 의약품 거래 장부를 조작하거나 차명계좌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도매상에 차액을 남겨주면, 도매상이 그 돈을 병원에 기부금으로 내는 방식이다. 그러나 해당 병원들은 도매상들이 대학 병원과 같은 재단에서 만든 일종의 계열사이기 때문에 도매상이 제공한 기부금을 리베이트로 보긴 어렵다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한길 대표 당선 뒤엔 ‘내조의 여왕’ 최명길이…
■ 게임에 미쳐 그렇게 살래
■ 에이즈 공포, 어느 노부부의 비극적 외출
■ 처자식에 못할 짓 해놓고 그녀와 행복했는가
■ 명성황후 무덤에 전화기 설치한 까닭
■ 김한길 대표 당선 뒤엔 ‘내조의 여왕’ 최명길이…
■ 게임에 미쳐 그렇게 살래
■ 에이즈 공포, 어느 노부부의 비극적 외출
■ 처자식에 못할 짓 해놓고 그녀와 행복했는가
■ 명성황후 무덤에 전화기 설치한 까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