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조 시점 인원수만 집계 ‘한계’
집회 도중 빠진 인원도 추가키로
시국회의, ‘집회방해’ 경찰 고소 방침
집회 도중 빠진 인원도 추가키로
시국회의, ‘집회방해’ 경찰 고소 방침
주최 쪽 추산 5만명 대 경찰 추산 1만6000명. 달라도 너무 다른 촛불문화제 참가자 계산법을 두고 경찰이 개선 방안을 고심중이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주최 쪽 추산과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집회가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의 참가자 수를 계산하는 경찰의 현재 집계 방식이 집회에 잠시 참여했다 돌아갔거나 중간에 참여하는 인원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며 경찰 추산의 한계를 인정했다. 이에 따라 “집회 도중 빠지는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 산출해” 참가 연인원을 계산하는 쪽으로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집회의 특정 시점에 3.3㎡(1평)당 몇 명이 모였는지를 기준으로 삼아 전체 면적을 고려해 인원을 추산한다. 반면 집회를 주최하는 쪽은 각 참가 단위로부터 보고받은 참석 인원들을 집계하거나 집회 장소에 모일 수 있는 최다 인원을 기준으로 집회 도중 돌아간 참가자들을 더해 집계한다.
지난 10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규탄 촛불문화제 참가자의 경우 주최 쪽은 5만명, 경찰은 1만6000명이라고 추산했다. 경찰은 “최고조 시점의 집회장소를 사진으로 찍어 직접 인원수를 헤아렸다”고 밝혔고, 주최 쪽인 시국회의는 “서울광장에 월드컵 응원단이 꽉 찼을 때 최다 인원을 5만명으로 본다. 이보다는 적었지만 중간에 돌아간 인원들을 고려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앞서 3일 집회에서도 3만명 대 4000명, 지난달 27일에도 2만5000명 대 7500명 등 주최 쪽과 경찰의 인원 집계엔 최대 6~7배의 차이가 났다. 시국회의 관계자는 “주최 쪽 추산에 ‘허수’가 포함됐을 수 있겠지만, 연인원을 반영한 수치인 만큼 실제 참가자 수에 근접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시국회의는 촛불집회를 방해한 경찰 관계자들을 고소하기로 했다. 시국회의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이 10일 저녁 덕수궁 대한문 앞 건널목 한쪽 끝을 경찰버스로 막아 촛불문화제에 참여하려는 시민들이 문화제가 열리는 서울광장에 들어오지 못했다”며 김정석 서울지방경찰청장 등 경찰 관계자들을 고소할 방침을 밝혔다.
대학생들도 다시 행동에 나섰다. 경희대국제캠퍼스·덕성여대·부산대·서울대·숙명여대·원광대·이화여대·전남대·중앙대안성캠퍼스 등 9개 대학 총학생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를 국정조사 증인으로 채택할 것 △박근혜 대통령이 직속기관인 국정원과 관련된 일련의 사태에 대해 직접 책임지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할 것 등을 요구했다. 다음 촛불문화제는 14일 저녁 7시 서울광장에서 시국회의 주최로 열릴 예정이다.
박현철 김효실 기자 fkcoo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월급쟁이 화난 이유 아직도 모르는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의 실세 ‘무대’가 여의도에서 사라졌다
■ 26층 아파트 옥상에 산을 쌓은 중국 ‘괴짜 부자’
■ 빼빼 마른 나, 왜 뚱뚱해 보일까?
■ [화보] 칠월칠석에 만난 황홀한 ‘별똥별 우주쇼’
■ 월급쟁이 화난 이유 아직도 모르는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의 실세 ‘무대’가 여의도에서 사라졌다
■ 26층 아파트 옥상에 산을 쌓은 중국 ‘괴짜 부자’
■ 빼빼 마른 나, 왜 뚱뚱해 보일까?
■ [화보] 칠월칠석에 만난 황홀한 ‘별똥별 우주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