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 보고서
“출산력 향상 기대 어려워”
“출산력 향상 기대 어려워”
결혼과 관련한 현재 추세가 지속되면 20년 뒤에는 44살 남녀 열에 둘은 미혼 상태일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3일 내놓은 연구보고서 ‘혼인동향 분석과 정책과제’를 보면, 2010년 인구센서스의 나이대별 미혼율이 앞으로도 계속되면 당시 20살 남성 가운데 23.8%, 여성은 18.9%가 44살까지 미혼으로 남을 것으로 추정됐다. 인구학에서는 보통 여성의 임신 가능 나이를 45살로 본다. 그 이후에는 혼인을 할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44살까지 혼인을 하지 않으면 사실상 ‘평생 미혼’ 인구로 분류한다. 2010년에는 44살 미혼자의 비율이 남성의 경우 10.1%, 여성은 4.6%였다.
이처럼 미혼자 비율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는 근거는 첫 혼인을 하는 나이가 계속 높아지고 있고, 아예 혼인을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늘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나라 남성의 첫 혼인 나이는 1998년 28.8살에서 지난해 32.1살로 14년 만에 3.3살이 증가했다. 여성도 같은 기간 26살에서 29.4살로 3.4살이 높아졌다. 게다가 30대 중반 이후 국민 가운데 혼인을 하는 비율이 낮아지고 있어, 적극적인 혼인 포기 사례가 증가했다는 추정도 나온다.
이상림 보사연 부연구위원은 연구보고서에서 “혼인을 아예 하지 않는 적극적인 포기 경향이 더 심해지지 않는다고 해도 출산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