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 미친 발생 빈도 18% 늘어
지난달 필리핀을 강타해 수많은 인명 피해를 낳은 ‘하이옌’과 같은 슈퍼 태풍이 20~30년 안에 한반도를 덮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문일주 제주대 교수(태풍연구센터 소장)는 하이옌의 필리핀 상륙 한달째인 11일 재단법인 기후변화센터가 서울 정동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서 연 ‘태풍 하이옌 한국 상륙 가상 시나리오-한국은 얼마나 안전한가’ 세미나에서 이런 분석 결과를 소개하며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문 교수는 권위 있는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지난달 하이옌에 대한 분석기사를 쓰면서 그의 말을 인용할 정도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태풍 전문가다.
문 교수는 “1975년부터 지난해까지 38년간 북서태평양의 태풍 발생 현황을 전후반기 각 19년으로 나눠 분석해 보면,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 가운데 최성기 때 슈퍼태풍 급까지 발달한 태풍 발생 빈도는 18%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슈퍼태풍은 일반적으로 최대풍속(1분 평균)이 초속 65m(시속 234㎞)를 넘는 태풍으로, 각목을 날려 지름 30㎝ 이상의 가로수를 관통하게 할 정도의 위력을 갖고 있다.
슈퍼태풍 상태를 유지하며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은 아직까지 없었으나 문 교수의 분석 결과 슈퍼태풍의 최고 도달 위도는 지난 38년 사이 북위 28도에서 북위 34도로 6도나 북상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반도 쪽으로 600㎞ 이상 접근한 셈이다.
문 교수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태풍의 에너지가 되는 해양 열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한반도 주변의 해수온도 상승 속도는 다른 해역에 비해 빠른 상황”이라며 “이런 추세라면 앞으로 20~30년 뒤 한반도까지 슈퍼태풍 상태를 유지하며 올라오는 태풍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문 교수는 슈퍼태풍 상태를 유지하려면 지속적으로 바닷물에서 열에너지를 공급받아야 한다는 점을 근거로, 슈퍼태풍이 한반도를 덮친다면 구로시오 난류를 타고 올라와 부산·경남 남해안으로 상륙하는 경로를 밟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