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5000여명 서울광장서 집회
경찰, 경북 철도노조 간부 체포
지역본부 사무실 추가 압수수색
경찰, 경북 철도노조 간부 체포
지역본부 사무실 추가 압수수색
박근혜 대통령 당선 1년이자 철도 파업 열하루째인 19일, 전국철도노조(철도노조)는 정부를 향해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하며 2차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철도노조원 1만5000여명(주최쪽 추산, 경찰 6000여명)은 이날 오후 6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철도 총파업 승리 결의대회’를 열어 “정부는 노조 탄압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12월 국민의 뜻에 반하는 고속철도(KTX) 민영화는 절대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 만큼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철도 파업 대응은 한층 강경해지고 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이날 오전 경찰청에서 열린 전국 지방경찰청장 화상회의에서 “철도파업은 민영화 저지를 내세운 명백한 불법파업”이라며 “파업을 지속할 경우 체포영장을 추가로 신청하는 등 파업 참가자에 대한 수사를 철저히 해 불법에 상응하는 처벌이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체포영장이 발부된 노조원을 체포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여갔다. 이날 낮 1시15분께 경찰은 경북지역본부 노조 간부인 윤아무개(47)씨를 경북 영주에서 체포하고 대전, 부산, 경북 영주, 전남 순천 등에 있는 철도노조 지역본부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노동계는 즉각 반발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서울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의 철도노조 간부 체포와 노조 사무실 압수수색 조처에 항의했다.
종교계도 정부의 강경대응에 우려를 나타냈다. 대한불교 조계종 화쟁위원회와 노동위원회는 서울 견지동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철도 민영화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요구하는 법회’를 열어 “철도 파업에서 대화는 실종되고 정부의 겁박과 노조 파업만이 계속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정부와 회사, 노조는 대화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철도노조 결의대회가 끝난 이날 저녁 7시부터 서울광장에서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시국회의’ 등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 대학생, 일반 시민 등 2만여명이 모여 ‘촛불집회’를 이어갔다. 이들은 “헌법에 보장된 노동3권을 행사했다는 이유로 노동자들이 하루아침에 직위 해제되고 범법자로 규정되는 나라가 민주국가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대학생 손장희(23)씨는 “꼭 필요한 정책이라도 국민들의 의견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한다면 법이나 민주주의가 왜 필요한가.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들의 외침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욱 이정국 방준호 김미향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