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통계로는 매년 60~120명 달해
예방교육·신고·수사 통합대책 시급
예방교육·신고·수사 통합대책 시급
6년이 흘렀지만 상처는 아물지 않았다. 딸을 잃은 아버지는 눈물만 흘렸다. 2007년 12월25일 성탄절 선물을 사러 나간 뒤 유괴돼 세상을 떠난 이혜진(당시 10살)양과 우예슬(당시 8살)양의 추모제가 경기도 의왕시 안양시립청계공원묘지에서 24일 열렸다. 혜진양의 아버지 이아무개(51)씨는 말이 없었다. “시화호 물을 다 퍼내서라도 우리 아이를 찾아 달라”고 절규했던 예슬양의 부모는 이후 세상과 연락을 끊었다고 한다.
모든 국민이 분노한 유괴 사건이 일어난 뒤 정부는 폐회로텔레비전(CCTV) 설치를 늘리는 것을 비롯해 ‘아동 안전 지킴이집’을 마련하는 등 대책을 냈다. 지난해에는 경찰이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을 대상으로 ‘아동 지문 사전등록제’를 시행했다.
하지만 여전히 실종되거나 유괴되는 아동은 줄지 않고 있다. 경찰청 자료를 보면 실종아동은 2010년 2만6984명, 2011년 2만8099명, 지난해 2만7259명으로 해마다 2만명이 넘는다. 이 가운데 매년 60~120명은 유괴로 실종된 경우다.
이를 두고 유괴 범죄와 아동 실종을 예방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유괴·실종 사건 수사는 경찰이 맡고 예방 교육은 보건복지부가 챙기고 있는데, 이를 통합해 유기적으로 예방·신고·수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은 1984년 실종아동조력법을 제정하고 경찰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실종 아동을 찾을 수 있도록 ‘전국 실종·착취아동 방지센터’(NCMEC)라는 기구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이 기구는 평소에 아동이 실종될 경우 가족들의 시간대별 행동 요령 등을 수시로 교육하고, 유괴 사건이 일어나면 전문 인력을 꾸려 경찰을 지원한다. 또 신고가 들어오면 각 상점 등에 연락해 실종 아동의 신원을 공유하는 등 전방위적인 수색에 함께 나선다.
‘전국 미아·실종 가족 찾기 시민의 모임’ 나주봉 회장은 “민간 전문가 등이 함께 유괴·실종에 관한 교육 매뉴얼을 만들고, 범죄 피해자 가족도 꾸준히 지원하는 등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사건이 일어날 때만 반짝 관심을 갖지 말고 미리 아동 유괴·실종 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승헌 기자 abc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