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3시 현재 ‘주의보’ 51시간째 이어져…사상 최장
서울시 “자연 재해에 준하는 위기 수준으로 봐야”
저소득층 마스크 지원·관용차 단축 운행 등 비상 대응
서울시 “자연 재해에 준하는 위기 수준으로 봐야”
저소득층 마스크 지원·관용차 단축 운행 등 비상 대응
중국발 스모그가 밀려오면서 미세먼지·초미세먼지로 시민 건강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가 발령한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26일 오후 3시 현재 51시간 이어지자, 서울시가 저소득층 6만5000여명에게 황사마스크 지원, 대기오염 물질 배출 업소에 조업 단축 권고, 관용차량 운행 감축 등 비상 대응에 나섰다.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해제되지 않고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26일 긴급 설명회를 통해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이틀 이상 지속되는 것은 ‘재해’라면서 초미세먼지 위기관리 체계를 본격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장혁재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3일째 지속되고 있어 자연 재해에 준하는 위기 수준으로 봐야 한다. 시가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활용해 초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시장이 쓰는 차량 등 행정용 관용차량의 운행을 제한하기로 했다. 시의 관용차량은 1591대로 300만대로 추정되는 서울시 운행 차량에 견주면 아주 작은 비중이지만, 시부터 차량 운행을 줄이는 데 앞장서겠다는 것이다. 초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물질로 꼽히는 질소산화물을 줄이려면, 배출원의 35%를 차지하는 자동차 배출가스를 줄이는 데 신경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차량 2부제 등 일반 차량의 운행 제한은 검토했으나 현실성이 떨어져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자동차 매연 단속반을 93명으로 늘려 버스 차고지, 터미널, 빌딩가, 숙박시설 등의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소방차 등 815대의 차량을 동원해 도로 물청소를 확대할 참이다.
시가 운영하는 소각시설과 열병합시설은 운영시간을 기존의 80%로 낮추고, 대기배출업소 1056곳에게 조업시간 단축을 요청할 계획이다. 대형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388곳을 점검하고, 백화점 등 대형 시설은 교통량 감축 프로그램 이행 실태를 점검하기로 했다.
이밖에 긴급 호흡기 질환자 발생 때 즉시 이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야간 호흡기 환자 발생에 대비해 보건소, 보건분소, 시립병원과 주변 약국은 저녁 9시 연장 근무를 추진한다. 저소득 건강 취약계층 6만5000명에게는 황사마스크를 나눠주기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 24일 몽골 수도 올란바타르와 동북아 대기질 개선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데 이어 다음달 말에는 중국 베이징시와 대기질 개선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태우 기자 windage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