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 사건 증거 조작’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은 화교 출신 탈북자 김아무개(61)씨가 자살을 시도했던 호텔 객실. 김씨가 피로 쓴 “국정원”이라는 글씨는 지워져 있다. 박유리 기자 nopimuli@hani.co.kr
‘간첩 사건 조작 의혹’ 검찰 조사 받은 화교 출신 탈북자
진상조사팀 검사에게 ‘자살 암시’ 문자 메시지 보내기도
진상조사팀 검사에게 ‘자살 암시’ 문자 메시지 보내기도
‘간첩 사건 증거 조작’ 의혹으로 검찰 조사를 받은 국가정보원의 협력자 김아무개(61)씨가 자살을 시도했다.
검찰 관계자는 6일 “지난 5일 김씨를 조사한 뒤 새벽에 돌려보냈는데, 저녁 때 자살을 시도해서 병원에 입원중이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김씨는 서울 영등포의 한 호텔 객실에서 흉기로 목을 자해해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중국 국적의 화교 출신 탈북자로 전해졌다.
김씨는 5일 점심 때쯤 검찰 진상조사팀의 한 검사에게 “이제 다시 못볼 것 같아 메시지 보냅니다. 건강하고 행복하세요”라는 ‘자살 암시’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 검찰은 112에 신고를 하고 김씨를 수배했으나 찾지 못했다.
그러다 호텔 직원이 김씨의 자살 시도 현장을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김씨는 객실에 유서를 남겨놓았다고 검찰은 밝혔다.
<한겨레> 기자가 6일 김씨가 자살을 시도한 호텔 객실을 찾아가봤더니, 싱글침대가 2개 놓여 있고 침대 시트는 흐트러진 상태였다. 발견 당시 김씨는 침대와 벽 사이에 속옷 차림으로 쓰러져 있었고 오른쪽 목에 흉기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상처에서 피를 많이 흘리고 있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김씨가 쓰러져 있던 벽면에는 피로 쓴 “국정원”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그러나 <한겨레> 기자가 찾아갔을 때는 피가 모두 지워져 있었다.
박유리 기자 nopimuli@hani.co.kr, 온라인뉴스팀
'서울시 공무원 간첩사건' 증거 조작 의혹과 관련한 검찰 조사 후 자살을 시도한 국정원 협력자 김모(61)씨가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성모병원에서 수술을 마친 뒤 중환자실로 이동하고 있다. 자살을 기도한 김씨는 중국 당국과 국가정보원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4.3.6/뉴스1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