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욱 동창 삼성서 횡령한 돈
‘혼외아들’에 입금 의혹 조사 등
형사6부 수사상황 연일 언론 보도
형사3부 ‘뒷조사 수사’ 저지 노린듯
‘혼외아들’에 입금 의혹 조사 등
형사6부 수사상황 연일 언론 보도
형사3부 ‘뒷조사 수사’ 저지 노린듯
채동욱(55) 전 검찰총장 관련 비위 의혹에 대해 검찰이 수사대상을 계속 늘려가며 ‘먼지털이식’ 수사를 하고 있다. 검찰 내부에선 채 전 총장에 대한 불법사찰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검찰이 ‘채 총장 흠집내기’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 서봉규)는 채 전 총장의 고교 동창 이아무개(56)씨가 삼성계열사에 근무하면서 횡령한 회사 자금 가운데 2억원이 채 전 총장의 혼외아들로 의심받고 있는 채아무개(12)군의 계좌에 2010년께부터 지난해까지 두 차례 입금됐다는 의혹이 제기돼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25일 “2억원이 이씨가 횡령했다는 회삿돈 17억원의 일부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은 검찰 수사로 이 돈이 삼성계열사의 자금이라는 의혹이 불거지자 지난달말 ‘이 돈이 삼성과 무관하다는 점을 밝혀달라’는 진정서를 검찰에 냈다.
채 전 총장 관련 의혹에 대한 형사6부의 수사는 채군 어머니 임아무개(55)씨가 가정부 이아무개씨를 공갈·협박했다는 주장이 언론에 보도된 뒤 시작됐다. 일반 시민이 “수사해달라”며 검찰에 제출한 진정서가 수사 착수의 근거가 됐다.
그 뒤 검찰은 임씨의 변호사법 위반 혐의를 청와대 특별감찰반에서 이첩받아 수사를 확대했다. 지난해 연말께 이런 식의 수사확대에 검찰 고위 인사 일부가 반대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검사장급 인사 이후 임씨의 변호사법 위반 혐의에 대한 수사는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수사가 어느 정도 진행되자 검찰은 채군 계좌에 들어간 돈의 출처 확인까지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또 형사6부의 수사 상황은 연일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임씨 자택 등을 수색해 채 전 총장과 임씨, 채군이 함께 찍은 사진을 압수했다’, ‘서울의 한 병원을 압수수색해 임씨의 분만 전후 의료기록 가운데 채 전 총장이 쓴 것으로 보이는 서명이 담긴 보호자 동의서를 가져왔다’는 등의 내용이 여과 없이 기사화됐다. 채 전 총장의 도덕성에 흠집을 내어 청와대의 불법·편법 개인정보 수집 활동을 정당한 감찰로 탈바꿈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 관계자는 “형사6부와 형사3부의 수사 내용을 다 아는 누군가가 6부 것만 골라서 흘리고 있다. 의도가 매우 불순해 보인다. 형사6부는 진정서를 근거로 수사에 착수해 온갖 의혹을 뒤지고 있다. 김진태 검찰총장이 강조하는 ‘환부만 도려내는 수사’와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또다른 검찰 관계자도 “형사6부의 수사로 채 전 총장과 임씨를 심리적으로 압박한 뒤 형사3부 사건의 실질적 피해자인 두 사람에게서 ‘개인정보 불법유출 수사를 멈춰달라’는 의사표시를 받아내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