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민간잠수사들 피로누적
대체인력으로 투입돼
“입수 10분만에 통신 끊겨…
병원 이송했지만 끝내 사망”
대체인력으로 투입돼
“입수 10분만에 통신 끊겨…
병원 이송했지만 끝내 사망”
세월호 침몰 사고 21일째인 6일, 피로가 누적된 기존 민간 잠수사들의 대체인력으로 투입됐던 잠수사 이광욱(53)씨가 수색작업에 참여한 첫날 숨졌다.
세월호 범정부사고대책수습본부는 “오전 6시6분께 입수한 민간 잠수사 이씨가 10분 뒤 통신이 두절돼 구조했으나 자체 호흡이 불가한 상태였으며, 병원으로 이송해 응급처치를 했으나 7시36분께 사망했다”고 밝혔다. 사고 당시 이씨는 수심 22m 지점에서 유도줄(가이드라인)에 공기호스가 걸린 상태에서 마스크를 벗고 엎드린 채 발견됐다. 이씨의 주검이 안치된 목포한국병원 관계자는 기뇌증이 사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기뇌증은 압력 차이 때문에 뇌에 공기가 들어가 뇌혈관이 막히는 증상으로, 이씨에게 왜 이런 증상이 생겼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책본부는 민간 구난업체인 언딘인더스트리가 한 구조업체의 추천을 받아 이씨를 구조작업에 투입했으나 언딘 소속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씨는 동료 양아무개씨와 함께 5일 오전 10시35분께 잠수사들이 대기하는 바지선에 도착했으며, 당일 저녁 언딘 쪽 작업감독관으로부터 안전교육을 받은 뒤 6일 오전 처음으로 입수했다.
통상 두 사람이 함께 입수하는 것과 달리 이씨는 혼자 잠수를 한 상태였다. 대책본부는 “고인이 현장에 처음 투입됐기 때문에 테스트를 겸해 수심이 얕은(24m) 곳에서 통상 단독으로 수행하는 가이드라인 이전 작업을 하도록 했다. 수면에는 동료 다이버가 대기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5일까지 투입된 연인원 600여명의 잠수사 가운데 해경·해군 소속을 뺀 민간 잠수사는 91명이다. 해경은 4월 말께 언딘 쪽에 이들의 대체인력으로 50여명 정도를 추가 확보하라고 요청한 바 있다.
진도/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