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월 소말리아 해역에서 해적공격 6건
해양수산부, 청해부대 파견 연장 및 법률 제정
해양수산부, 청해부대 파견 연장 및 법률 제정
아프리카 소말리아 해적이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청해부대 파견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해수부가 27일 발표한 ‘1분기 해적 피해 발생 동향보고’를 보면, 올해 1~3월 소말리아 해역에서의 해적 공격은 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건이 늘어났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해적에 의한 선박 납치는 2012년 5월 이후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해적의 공격은 2011년 전세계 142건, 소말리아 해역 97건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소말리아 해역에서의 해적 행위가 급감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주요 해운국들이 해군 함정(16개국 24척)을 파견해 해적 소탕작전을 전개하고, 선박에 무장보안 요원들이 승선해 해적에 대응한 것 등이 효과를 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해역에 올해 1~3월 해적 공격은 12건으로 세계 해적공격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아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에서 18건, 싱가포르해협에서 5건, 방글라데시에서 4건 등 모두 29건의 해적 공격이 발생했다.
국제연합(UN) 산하 해적기구, 유럽연합(EU),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은 소말리아 해역에서의 해적 위협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이곳에서의 해적 퇴치활동을 2016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최명범 해수부 항해지원과장은 “청해부대 파견 기한을 연장하고 위험해역 통항선박을 24시간 감시하는 한편, 무장 보안요원이 승선해 해적 공격에 대응하도록 하는 가칭 ‘대한민국 선박 등에 대한 해적행위의 예방과 대응에 관한 법률’을 올해 안으로 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은 2011년 5월 이후 선박과 선원에 대한 해적 피해를 입지 않고 있다.
김경무 선임기자 kkm100@hani.co.kr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서 청해부대 최영함 승조원 등 부대원들이 비행갑판에 모여 숫자 ‘2011’을 만들며 임무 완수를 다짐하고 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