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물류센터 추진
“안전한 학교급식 우리가 책임지겠습니다!”
질 낮은 수입 농산물 대신에 안전하고 저렴한 친환경 우리 농산물을 학생들의 식탁에 올리기 위해 농민들과 시민들이 손을 맞잡았다.
경남 합천·거제·거창·함안 등지의 농민들과 경남가톨릭농민회·경남여성농민회·부산귀농운동본부 등의 농민·시민단체 관계자 60여명은 지난 2일 경남 창원시 경남농업인회관에서 ‘부산·경남 학교급식 물류센터’를 만들기로 결의하고 준비위를 구성했다. 우리 농산물 공급을 생산자인 농민과 학교에 직접 연결하는 물류센터 추진은 전국에서 처음이다.
준비위 구성에 앞장섰던 부산지역의 시민활동가인 손동호(41)씨는 “수입업자들에 의해 어지럽혀진 국내 농산물 시장구조를 반면교사로 삼아 학교급식만은 유통구조를 바로잡아야 한다”며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함으로써 가격 거품을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오는 11월까지 시·군 단위의 생산자 모임을 20여개 구성한 뒤 부산·경남지역 학교를 대상으로 친환경 우리 농산물 계약재배 계약을 맺을 방침이다. 이어 준비위는 내년 2월까지 부산·경남 지역 학교 5~10곳과 시범계약을 맺는 것을 시작으로 2007년 2월까지 계약 학교를 최소 100곳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학교 쪽과 계약재배 품목과 생산량, 공급가격을 협의해 정식계약이 체결되면 각 지역 생산자 모임인 지역위원회가 학교에 공급할 농산물을 생산하게 된다.
또 4~5년 뒤엔 부산에 10만평 규모의 대형 물류창고를 만들어 친환경 우리 농산물을 일반에도 판매할 계획이다.
우리 농산물 공급을 규정한 학교 급식조례가 가트 규정 위배라는 대법원의 최근 결정과 관련해 학교급식 물류센터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정재영(43·합천군 농민회장) 준비위원장은 “학교급식 물류센터는 가트협정 위배 논란을 비켜나면서 무차별 수입 개방에 맞서 우리 농민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젊은 학생들과 국민들의 건강을 지켜내는 파수꾼이 되겠다”고 말했다.
창원/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