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디엔에이(DNA) 분석 결과 사망했다고 공식 확인한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주검이 발견된 전남 순천시 서면 신촌리의 매실밭에서 22일 오전 경찰이 폴리스라인을 치고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순천/연합뉴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사망을 둘러싼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의혹에 기생한 갖가지 음모론이 유포되는 가운데, 검찰과 경찰이 유 전 회장 검거에 나선 뒤 수사 과정에서 흘린 부정확한 정보가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① ‘20억 도피 자금설’의 실체는? 순천경찰서가 22일 브리핑에서 “외견상 타살 흔적이 없다”고 밝혔으나 일부 언론은 ‘20억원 가량의 도피 자금이 든 가방이 유 전 회장의 주검이 있던 현장에 없었다’는 이유를 들어 타살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누군가 거액을 빼돌리기 위해 유 전 회장을 살해했을 것이라는 시나리오다.
몰래 도피하는 고령의 노인이 사과 박스 2개 크기의 여행용 가방을 들고 다녔다는 점도 상식에 비추어 보면 납득이 되지 않지만, 무엇보다 ‘20억원’이라는 액수의 출처가 불분명하다.
‘20억 도피 자금설’은 지난 7월 검찰로부터 나온 얘기다. 검찰이 5월 초 순천에서 유 전 회장을 만나 땅을 팔았다는 ㄱ씨를 조사한 결과, ㄱ씨가 ‘유 전 회장이 가방에서 현금 2억5000만원을 꺼내 땅값을 지불했다’고 진술했다는 것이다. 당시 검찰은 유 전회장이 돈을 꺼낸 여행용 가방이 사과 박스 2개 크기였다며 이 안에 돈을 가득 채울 경우 20억원 정도가 들어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사실상 계좌 추적 등을 통해 확인한 게 아닌 가방의 크기로 미루어 짐작한 액수가 유 전 회장의 ‘도피 자금’으로 특정되어 사망 원인에 대한 의혹을 부추기는 셈이다. 또 ㄱ씨가 유 전 회장을 만났다고 밝힌 5월 초는 경찰과 검찰이 그를 지명 수배하기 전의 일이다. 수배 전에 만난 사람의 진술을 토대로 도피 자금을 추정한 것도 수사기관에 기대되는 정확성과는 거리가 멀다.
② 소주병과 막걸리병의 진실은? 유 전 회장의 주검을 발견한 장소에서 막걸리 1병과 소주 2병이 발견된 것도 의구심을 부른 대목이다. 이태종 기독교복음침례회 평신도복음선교회 임시 대변인이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유 전 회장이 절대 술을 마시지 않는다”며 유 전 회장이 아니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유 전 회장이 술을 마시지 않는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이태종 임시 대변인의 말 뿐인 상황이다. 유 전 회장이 사실상의 교주 구실을 하는 구원파에서 교리가 금지하고 있는 음주를 했다는 증언이 나올 리가 없는데도 경찰은 당시 현장에서 발견된 소주와 막걸리 병에서는 알코올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6월 초에만 같은 지역에 두 차례 큰 비가 내린 적이 있다는 점에서 알코올 성분이 남아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만 더 커졌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변사체와 함께 발견된 가방과 신발 등 유류품 사진. 순천/연합뉴스
유 전 회장이 유기농만 고집한다, 고급 생수만 마신다는 등 그를 신격화하는 구원파 쪽의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토대로 의혹을 제기하는 보도도 여과 없이 퍼지고 있다.
③ ‘명품 신발’ 와시바?=순천경찰서는 22일 브리핑에서 주검과 함께 발견된 유류품 가운데 신발의 경우 ‘와시바’라는 고가의 신발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밤 “신발 waschbar는 제품명이 아닌 독일어 ‘세탁할 수 있는’ 뜻인 것으로 보이고 발견된 신발은 상태가 낡아 제품명이 확인되지 않는 신발”이라고 정정했다.
하루 종일 유 전 회장이 입고 있던 점퍼의 브랜드 ‘로로피아나’와 함께 온라인에서 ‘명품 신발’로 소개된 와시바가 경찰의 과욕이 부른 해프닝으로 끝났다. 시신 발견 당시에는 방치했다가 유전자 검사 결과가 나온 21일에야 부랴부랴 감식을 하는 등 경찰의 부실한 수사로 오보가 양산된 것이다.
진명선기자
torani@hani.co.kr
세월호 100일, 고장난 저울 [한겨레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