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질책에 고개숙여
40일 전에 사망한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유령’을 영장까지 재발급해가며 쫓았던 어이없는 촌극에 대해 법무부 장관과 경찰청장이 24일 나란히 고개를 숙였다. 여당 지도부마저 이들의 ‘문책’을 공식적으로 요구했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긴급 현안보고’에 나와 “그동안 추적해온 유 전 회장이 검거되지 못하고 사망한 채 발견된 데 대해 국민께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황 장관은 “장관 사퇴할 용의가 있나”라는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의 질문에 “책임을 피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답했다.
경찰 수사를 총지휘한 이성한 경찰청장도 이날 안전행정위원회의 긴급 현안보고에서 “미흡한 수사로 국민께 심려를 끼치고 수사가 지연된 데 깊이 사과 말씀 드린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황 장관과 달리 야당 의원들의 사퇴 요구에 “모든 일에 책임지고 분발해서 열심히 하겠다”며 답을 회피했다가, 추궁이 이어지자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며 물러섰다. 야당 의원들은 또 이 청장이 유 전 회장의 주검이 발견된 다음날 지휘라인에도 없는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을 스스로 찾아가 보고한 것에 대해 “월권이 매우 심하다”(임수경 의원)고 따져물었다. 같은 당 주승용 사무총장은 변사체가 발견된 지역 주민의 녹취록을 틀며 “주민들 사이에 변사체가 유 전 회장이 아니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변사체 발견 시점이 (경찰이 밝힌 6월12일이 아닌) 4월 중순께로 추정된다는 등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이날 국회에서 변사체의 신원은 유 전 회장이라고 거듭 밝혔다. 서중석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은 “과학적으로 (변사체가) 유병언씨임을 100%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박대출 새누리당 대변인은 비공개 최고위원회 회의가 끝난 뒤 “수사·지휘상 책임이 있는 자에 대해서는 엄중한 책임을 묻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보미 이승준 기자 spring@hani.co.kr
세월호 피해자 유가족 “대통령은 특별법 제정 약속 지켜달라”
가수 김장훈과 단원고 2학년 故 이보미 양이 함께 부르는 ‘거위의 꿈’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