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빌라 교수
서울세계수학자대회 필즈상 수상 4명 누군가 봤더니…
미르자카니 교수, 117년 만에 여성 최초 수상 영예
아빌라 교수, 비서구권 박사 출신 최초 수상자 등극
13일부터 21일까지 학술행사·대중강연·패널토론 열려
120개국 5천여명 참가…역대 최대 수학자대회 ‘성황’
미르자카니 교수, 117년 만에 여성 최초 수상 영예
아빌라 교수, 비서구권 박사 출신 최초 수상자 등극
13일부터 21일까지 학술행사·대중강연·패널토론 열려
120개국 5천여명 참가…역대 최대 수학자대회 ‘성황’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13일 개막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서 수학계의 노벨상인 필즈상 수상자 4명이 발표됐다.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회(위원장 박형주 포항공대 교수)는 이날 필즈상 수상자로 아르투르 아빌라(35)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석학연구원, 만줄 바르가바(40) 미국 프린스턴대 석좌교수, 마틴 헤어러(39) 영국 워윅대 교수, 마리암 미르자카니(37)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 등 4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세계수학자대회는 국제수학연맹(IMU)이 1936년부터 4년마다 주최해오는 학술대회로 아시아에서는 일본·중국·인도에 이어 네번째로 우리나라에서 열린다. 21일까지 필즈상 시상, 학술행사, 대중강연, 패널토론 등이 이어진다. 이번 대회에는 120개국 5천여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코엑스에서 열린 대회 개막식에서 수학자대회 전통대로 필즈상은 개최국 국가 원수인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시상을 했다. 필즈상은 수학분야 최고 권위의 상으로 수상연도 1월1일 기준 만 40살 미만의 뛰어난 업적을 낸 수학자에게 주어진다.
이날 수상한 아빌라는 브라질 태생으로 브라질 국립순수응용수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북아메리카나 유럽이 아닌 국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라는 영예도 함께 안았다. 또 미르자카니는 지금까지 117년 전통에 52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배출한 수학자대회에서 첫 여성 수상자로 선정됐다. 특히 이날 수상자와 대회 주최자(잉그리드 도비시 국제수학연맹 회장·미국 듀크대 석좌교수), 시상자가 모두 여성인 진풍경이 펼쳐졌다.
필즈상 이외에도 이날 개막식에서는 정보과학 등의 수학 관련 학문분야에 업적이 있는 40살 미만 수학자에게 수여되는 네반리나상은 수브하시 코트(36) 미국 뉴욕대 쿠랑연구소 컴퓨터학과 교수가, 공학·비즈니스·실생활 등 수학 이외의 분야에서 공헌을 한 수학자에게 주어지는 가우스상은 스탠리 오셔(72)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교수가 받았다. 또 나이나 직업에 상관없이 수학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낸 사람에게 수여되는 천상은 필립 그리피스(76)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원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수학 대중화에 공헌한 수학자에게 주어지는 릴라바티상 수상자로는 과학저널리스트인 아드리안 파엔자(65)가 선정됐다. 네반리나상 등 3개 상은 이날 필즈상과 함께 수여됐고, 릴라바티상은 폐막식 때 주어진다.
필즈상 첫 여성 수상자인 미르자카니는 이란 테헤란에서 태어나 2004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어릴 적 소설을 좋아해 작가가 꿈이었던 그는 “전쟁 뒤 안정된 시기에 10대를 지내는 행운을 얻었다. 도전을 통해 기쁨을 얻는 과정이 수학에 빠져들게 했다”고 말했다. 그는 기하학과 동력학계 분야를 통합해 수학의 여러 분야들 사이에 다리를 놓았다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아빌라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던 동력학계의 움직임에 관한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이론을 제공했다. 아버지도 수학자인 헤어러는 오스트리아 국적으로 2001년 스위스 제네바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가예측 방정식으로 알려진 확률편미분방정식 연구에서 지금까지 해결 불가능해 보였던 문제들을 도전할 새로운 이론을 창안했다. 바르가바는 8월8일생으로 만 40살에게만 주어지는 필즈상을 8개월 차이로 받는 행운을 얻었다. 캐나다 출생으로 2001년 프린스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지 2년 만에, 아이비리그 사상 최단시간에 정교수로 임명됐다. 그는 40년 가까이 진전이 없던 대수적 정수론이라는 분야에서 획기적인 업적을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미르자카니 교수
마틴 헤어러 교수
만줄 바르가바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