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지정때 지역색 띤 주장
‘광주 해줬으니 우리도 해달라’
전·현 시장 공약…움직임은 없어
‘광주 해줬으니 우리도 해달라’
전·현 시장 공약…움직임은 없어
대구에서도 2012년 중반부터 지난해 초까지만 하더라도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2012년 12월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광주 무등산 때문이다. 무등산의 국립공원 지정을 전후해 대구에서도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사실 팔공산은 대구보다는 경북에 더 많은 지역이 걸쳐 있다. 팔공산 전체 면적 12㎢ 가운데 72%를 경북도가, 28%를 대구시가 관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구에서 높았던 것은 대구에는 국립공원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경북에는 이미 6개의 국립공원이 있다.
“무등산은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에 반해 대구·경북의 영산으로 꼽히는 팔공산에 대한 활동은 초라하기 짝이 없다. 팔공산 관련 시민단체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그 활동이 빈약하다.”
당시 대구의 지역일간지에 등장한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 논리였다. ‘광주를 해줬으니 우리도 해달라’는 요구에 머물러 치밀한 논리와 추진 동력은 잘 형성되지 않았다. 갓바위와 동화사가 있고, 복수초 군락지 등 희귀 식물이 많은 팔공산은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관광객이 늘어나 지역 경기가 나아질 것이란 기대가 높았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나눠 관리하던 팔공산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혔다. 대구시와 경북도 처지에서는 팔공산을 관리해야 하는 인력과 예산을 아낄 수 있다.
김범일 전 대구시장은 지난해 1월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곧이어 팔공산 주민과 상인들을 상대로 한 주민설명회가 열리기도 했다. 6·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권영진 대구시장이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움직임은 없다.
대구/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