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때 함정·탐색 인양 전문함인 통영함이 출동하지 못한 것은 음파탐지기의 성능이 40년전 수준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감사원 감사결과 드러났다.
19일 감사원 관계자는 “통영함 핵심 장비인 음파탐지기의 성능이 1970년대에 건조된 평택함과 비슷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로 인해 해군이 통영함의 인수를 거부해 세월호 구조·수색에 동원되지 못하게 됐다”고 밝혔다. 통영함은 최첨단 수상 구조함을 표방하며 지난 2012년 진수됐으나, 해군은 음파탐지기 성능 등을 문제삼아 인도를 거부했다.
이런 이유 탓에 통영함은 세월호 참사 당시 구조·수색 작업에 투입되지 못했고, 감사원은 지난 5월부터 ‘방산제도 운영 및 관리 실태’ 특수감사에 착수했다. 앞서 지난 5일에는 2009년 당시 방사청 함정사업부장으로 통영함 음파탐지기 선정 업무를 담당한 황기철 해군 참모총장을 집중 조사하기도 했다. 감사원은 황 참모총장이 당시 성능변경에 적극 개입했는지 여부에 대해 집중 조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은 또 “방사청이 음파탐지기 구매 과정뿐 아니라 2억원 짜리 음파탐지기를 41억원에 구매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도 집중 조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감사원 관계자는 “납품 비리 부분에 대해서는 검찰 고발을 계획 중이지만, 방사청이 성능 기준을 무단으로 변경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라며 “관계자 면담 등을 통한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H6s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박 대통령의 강공 선회, 그 내막은? [정치토크 돌직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